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조음장애의 치료의 전통적기법1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1-31 (일)
분 류 치료
ㆍ추천: 0  ㆍ조회: 8964      
조음장애의 치료의 전통적기법1
 

강좌의 목표

1. 전통적 기법의 기본적인 특성과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잇다.

2. 전통적 기법과 관련된 기법의 종류과 특성을 알고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다.

3. 현재까지 개발되어있는 전통적 기법 프로그램의 공통적인 특성과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본 장부터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고, 지금까지 개발되어 있는 조음장애 치료기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법만을 이용하여 조음장애 치료에 접근하는 것은 아닙니다. 조음장애 치료의 한 세션 내에서도 여건에 따라 여러 가지 치료기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 기법 중에서 전통적 기법은 가장 기본적인 치료 기법 중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 기법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개발되고 발전되어져 왔습니다. 그로 인해 단일음소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즉, 음소, 무의미음절, 단어, 구, 문장 등으로 각 단계별로 일대일 접근을 시도합니다. 전통적 기법은 의사소통적인 전이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가 행해져 여러 가지 관련 기법의 개발되었으며, 다른 치료 기법들 또한 개발되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강좌의 내용

1. 서론



2. 관련기법



 2.1 조음점 지시법(Phonetic placement)

 2.2 운동 - 근운동 감각법(moto-kinesthetic approach)

 2.3 자극법(stimulus approach)

 2.4 집단법(group method)

 2.5 통합적 자극법(integral stimulation)

 2.6 보조 이론법(servotheory approach)

 2.7 감각 - 운동법(sensory - motor approach)

 2.8 변별법(discrimination approach)

 2.9 무의미법(nonsense approach)



3. 기본 구조

 3.1 Van Riper의 모델

 3.2 Powers의 모델

 3.3 Secord의 모델

 3.4 석동일의 모델



과제 및 퀴즈, 토의사항

1. 전통적 기법의 기본적인 특성과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전통적 기법과 관련된 기법의 종류과 특성에 대해 알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 현재까지 개발되어있는 전통적 기법 프로그램의 구조를 알고 공통점을 중심으로 전통적 기법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김승국?서본연 (1983). 언어의 발달과 지도. 한국방송통신대학.

석동일 (1999). 조음 및 음운장애 치료. 대구대학교 출판부.

John, E. B & Nicholas W, B(1998)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llyn and Bacon

Ken M. B(1995). Manual of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제 5 주: 제 3 장 전통적 기법(1)



제 3 장 전통적 기법(1)



1. 서론



  20세기 초반 40년간은 언어교정사(speech correctionists)들이 조음장애 치료를 위한 전통적 방법(traditional approach)의 기초를 확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Mosher(1929), Scripture와 Jackson(1927), Borden과 Busse(1927), Ward(1923), Peppard(1925), Travis(1931) 등은 조음장애 치료방법에 대해서 그들의 견해를 처음으로 밝힌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이들의 생각에 West, Kennedy와 Carr(1937), Nemoy와 Davis(1937), Stinchfield와 Young(1938) 등도 동조를 했습니다. 이들 임상가들은 조음자(articulator)의 적절한 조음위치 잡기 즉, 조음점 지시법(correct phonetic placement)과 상이한 어음에서의 다양한 연습을 특히 강조하고, 아울러 듣기기술 개발이 필수적으로 치료에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1939년에 Van Riper는 “Speech Correction : Principle and method”라는 책에서 조음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하나의 총체적 지침인 “자극법(stimulus approach)”을 제시하여, 연습보다는 기법과 치료 정책에 초점을 두고 처음으로 조음치료에 대한 조직화된 도식을 기술했습니다. 오늘날 전통적 조음장애 치료법이 주로 Van Riper의 자극법에 매우 가깝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이처럼 지난 몇십년 동안 사용되어온 전통적인 방법은 각 어음에 촛점을 둔 조음지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 지침에다 오조음 교정을 위한 계열적 체제만 삽입하여 프로그램화시켰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준거수준이 제시되지 않고, 강화계획이 없으며, 자료수집 체제도 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이 시스템은 환자와 치료사의 일대일 관계에서만 주로 치료되므로 두 사람 이상의 상호 교환적 의사소통으로 전이가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관련기법



2.1 조음점 지시법(Phonetic placement)

  오늘날 언어병리학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조음점 지시법은  Scripture와 Jackson(1927)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조음자의 정확한 위치잡기와 호흡기류의 바른 사용을 강조합니다. 어음(speech sound)은 언제나 단 한가지로 발음된다는 가정에 의해서 환자에게 각 오조음에 대한 입술, 혀 그리고 턱의 위치법과 호흡법을 가르칩니다. 이때 혀의 모형, 임상자의 손가락, 거울 및 도표 등을 사용하며, 특히 조음기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인 “입운동(mouth gymnastics)”, “거울보고 발음하기” 및 “혀끝 사용법”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발음을 확립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지만 학습된 각 음의 안정화 훈련에도 많이 사용합니다(Newman, Creaghead & Secord, 1985). 이 접근은 환자로 하여금 각 표적음을 의식적으로 조음하도록 요구함으로 학습된 기능을 회화적인 말로 전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가집니다. 그러나 개별 및 집단치료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Van Riper(1978)는 청각장애아에게 특히 적절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2 운동 - 근운동 감각법(moto-kinesthetic approach)

  Young과 Hawk(1938)의 방법은 조음점 지시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 음은 독립음 보다는 음절, 단어, 구 또는 문장의 한 부분으로써 지도합니다. 치료사는 표적음의 정확한 발음을 자극시키기 위해 환자의 조음자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 이완을 촉진하도록 환자를 눕힙니다. 동시에 치료사는 환자를 관찰하고 있는 동안 그 음을 말합니다. 이리하여 환자는 촉각, 근육운동지각, 청각, 시각적 피드백을 동시에 받습니다. 이 방법은 본질적으로 일대일 치료기법이기 때문에 개별지도에만 사용됩니다.

  한편 Sommers(1983)에 의하면 이 기법은 조음점 지시법의 총체적 개념을 최대로 확장한 것이고, 조음의 동작 패턴과 근육운동 동작의 지각 증대에 특히 촛점을 두고 있다고 기술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 접근은 주로 조음점 지시법과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개 초기에 바른 음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성마비아를 포함한 신경장애아에게 주로 사용됩니다.



2.3 자극법(stimulus approach)

  Van Riper(1939)가 처음 제시한 이 방법은 오조음된 단일 표적음에 촛점을 두며, 철저한 청각훈련(ear training)을 거쳐 독립음 - 음절 - 단어 - 구 - 문장 - 대화에서의 발음으로 나아갑니다.

  여기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적음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상이한 강약, 치료사 바꿔 발음하기, 속도 조절, 장단 발음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Newman, Creaghead & Secord, 1985. p129). 이 방법은 새 음을 확립하는데 제일 먼저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학자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Bernthal & Bankson, 1981; Irwin, 1965; Milisen, 1954; Power, 1971; Van Riper, 1978; Weiss, Lilly White & Gorden, 1980). 이 방법 역시 조음점 지시법과 결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2.4 집단법(group method)

  Backus와 Beasley(1951)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인간의 많은 행동 가운데서 말은 단지 하나의 행동으로 보는 전체법적인 전제하에서, 환자와 집단의 다른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의미있는 문맥으로 말을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이 방법이 추구하는 목표는 말의 기능 개선에 덧붙여 개인적 적응과 사회적 기능 성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그 접근에 있어서 전체 - 부분 - 전체로 나아가는 과정으로서의 학습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Backus와 Beasley(1951)는 “의사소통은 인간행동의 다면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유일한 시스템이다”라고 했습니다. 이 가정의 타당성은 다음에서 발견됩니다.

  첫째, Piaget(1952a, 1952b)와 다른 학자들(Bruner, 1975; Aronson, Bridgeman & Geffner, 1978; Sharan, 1980)에 의한 아동발달의 상호작용 개념

  둘째, 정보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일치성(Berlo, 1960; Cherry, 1978; Garner, 1962; Greeno & Bjork, 1973; Littlejohn, 1978; Gragne, 1977)

  세째, 학습장애와 의사소통장애의 장애 문제, 지도 방법 및 훈련의 일치성(Lerner, 1981)

  네째, 언어전문가들이 실용적 상황에서 사용되고 또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이 언어습득상 자연스럽고 이상적인 배경이라고 생각하는 것(Holland, 1975; Muma, 1978; Res, 1978)



2.5 통합적 자극법(integral stimulation)

  Milisen(1954)이 제시한 방법으로 운동 - 근육운동 감각법과 마찬가지로 가능하면 피드백을 많이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청각적 및 시각적 피드백을 많이 사용합니다. 청각적 변별훈련을 선행시키지 않고 발음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첫 표적음의 성공적 발음을 강조합니다. 표적음의 선택은 말에서의 빈도와 자극능력(stimulability)을 고려해서 선택할 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발음 확립의 초기 단계로 사용되며 모방법(imitation)과 그 속성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환자가 표적음이나 분절음을 발음할 수 있을 때는 표적음의 정확한 발음을 유도해 내는 확립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다수 조음장애에게 초기 교수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2.6 보조 이론법(servotheory approach)

  Mysak(1959)가 개발한 것으로 환자가 오조음과 정확한 표적음을 변별하는 것에 강조를 두며, 오조음 지각?오조음 측정과정?표적음 찾기과정?표적음 추적과 접근과정이 그 중심 내용으로 되어있습니다. 치료의 첫 단계에서 환자는 다양한 언어적 문맥에서 정확한 조음과 부정확한 조음을 빨리 그리고 정확히 변별하는 것을 학습합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 환자는 정확한 발음으로 일반화되어 나타날 때까지 다양한 단어에서 그 음을 발음합니다.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음이 숙달될 때까지 치료사는 직접적인 지도를 합니다.



2.7 감각 - 운동법(sensory - motor approach)

  McDoonald(1964a)에 따르면, 음절은 말의 발음에서 기능적 단위이므로 조음치료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감각 - 운동 치료 단계에서 치료사는 자극음절 발음모델을 제시하고 환자는 모방합니다.

  치료의 첫 단계에서 환자에게 음절을 발음하게 하고 그 다음에 그 음절의 조음에 포함된 조음자의 위치와 움직임을 기술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환자는 그 음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감(feeling)을 감지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동일 강약을 가진 이중음절부터 시작하고, 그 다음에 강약이 다른 패턴, 상이한 모음, 상이한 자음, 그리고 3음절로 나아갑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치료사는 환자가 정확히 발음할 수 있는 문맥을 사용합니다. 치료사는 다시 자극문맥을 시범보이고 환자는 모방합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 환자가 그 단어를 사용하는 음소적 문맥의 수가 증가합니다. 아울러 강약의 모음과 자음이 다양하게 제공됩니다(Newman, Creaghead & Secord, 1985. p.130)



2.8 변별법(discrimination approach)

  Winitz(1969), Winitz & Bellerose(1962, 1963)는 조음장애 치료의 핵심은 어음변별이라고 했습니다. 환자가 오조음하는 문맥을 구별하고 난후, 치료사는 환자에게 오조음을 변별하도록 지도합니다. 환자가 문장에서 오조음과 표적음 사이를 변별할 수 있을 때 발음을 시작합니다. 치료사는 일반 장난감이나 물체의 이름에 오조음과 표적음이 내포되어 있는 것을 가지고 어린이가 놀도록 합니다. 이리하여 정확한 조음은 자연히 보상됩니다. 보다 난이도를 높이려면 두 음의 대조가 어려운 것을 사용합니다. Winitz는 환자의 오조음과 표적음사이에 변별지도할 때를 제외하고는 오조음을 가지고 계속 훈련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2.9 무의미법(nonsense approach)

  이 방법은 Gerber(1973)가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학습된 표적음을 자발적인 회화 말까지 전이를 촉진하는데 있습니다. 이리하여 Gerber는 /r/를 제외하고는 음의 습득에 대한 기술은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환자가 표적음의 발음이 숙달되면 무의미 자료에서 표적음 사용을 체계적으로 지도합니다. 이 자료는 간단한 cv, vcv로 시작해서 무의미 단어로 그리고 완전한 회화로 나아가고 마침내 의미있는 문맥에서 무의미 단어를 사용합니다.

  이상의 분석으로 전통적 기법은 다양한 접근 방법을 포함하는 종합적 방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음점 지시법과 운동 - 근운동 감각법은 조음점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데 공통점을 가지지만 조음점 지시법은 조음위치에, 운동 - 근운동감각법은 조음동작에 강조를 두고 있습니다. 또 자극법, 통합적 자극법 그리고 감각 - 운동법이 모방법을 전제로 하는 점에서는 공통이지만 자극법은 자극 제시의 다양성에, 통합적 자극법은 자극 수용에서 감각통합을, 감각 - 운동법은 체계적 발음에 핵심을 두고 있다는데 차이가 있습니다. 또 보조이론법과 변별법이 변별훈련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한 이론적 기초를 가지고 있지만 보조이론법은 오조음과 표적음의 변별에, 변별법은 오조음의 변별에 특히 강조를 두어야 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3. 기본 구조



  전통적 치료기법의 기본 구조에 대한 제 학자들의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합니다.



3.1 Van Riper의 모델

  1939년에 Van Riper는 조음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일반적 지침으로 7단계를 제시했습니다.

  첫째, 없애야 하는 오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둘째, 장애의 원인이 제거되어야 합니다.

  세째, 철저한 청각훈련을 통하여 표적음과 오조음이 분리?인지?구별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네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오조음이 교정되도록 해야 합니다.

  다섯째, 새로 교정된 음은 강화되어야 합니다.

  여섯째, 교정된 음은 친숙한 단어 속에 연결시켜서 정상적인 말로 전이되도록 해야 합니다.

  일곱째, 교정된 음의 사용이 습관적으로 되게 하여 오조음이 제거되게 하여야 합니다.

  이상의 지침에 내재되어 있는 함의는 조음장애 치료의 절차로 체계성을 강조하며, 청각 훈련?교정된 음의 안정?교정된 음의 회화 사용에로 전이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편, Van Riper의 7번째 저서에서 전통적 치료 방법의 장점은 체계적 치료에 있다고 말하고 다음과 같이 단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1단계: 감각?지각훈련(sensory - perceptual training; ear training) - 정밀조사와 비교를 통하여 오조음과 표적음을 구별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2단계: 변화와 교정(varying and correcting) - 정확히 발음될 때까지 음의 발음을 변화시키고 교정하기

  3단계: 강화와 안정(strengthening and stabilizing) - 교정된 음의 강화와 안정

  4단계: 전이(transferring)- 새로 교정된 말의 기술을 일상 의사소통 상황에 전이시키기

  이 각 단계는 4개의 치료 수준 즉, 음소 - 음절 - 단어 - 문장 수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단계는 환자나 치료사가 거쳐야 할 단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방향이 분명한 장점이 있습니다. 즉, 그들은 하나라도 성취한 것은 무엇이고 성취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바닥 단계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으며, 음소나 음절에서는 정확히 발음되나 단어에서 되지 않는다면 단어 수준에서 시작하면 됩니다.

  이상에서 Van Riper가 제시한 전통적 기법의 기본 구조는 다음 표 3.1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표 3.1>  Van Riper의 전통적 기법의 기본구조

 1. 감각?지각 훈련

    ?확인

    ?분리

    ?자극

    ?변별

 2. 발음훈련 : 음의 확립/음의 습득

 3. 발음훈련 : 음의 안정

    ?분리

    ?무의미 음절

    ?단어

    ?구

    ?문장

    ?회화

  4. 전이




3.2 Powers의 모델

  Powers(1957, 1971)는 조음 치료의 3단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습니다.

  첫째, 청각적, 시각적, 근육운동 지각적, 촉각적으로 음을 판별하고 변별하는 학습

  둘째, 다양한 음성학적 맥락에서 임의로 발음하는 학습

  세째, 모든 조건하에서 연결된 말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음을 사용하는 학습

  이상에서 Powers도 조음치료에서 계열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다른 학자들과 같은 견해이며, 전통적 치료의 기본 절차로 음의 확인과 변별, 표적음의 학습, 학습된 음의 전이 등 세 단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3.3 Secord의 모델

  Secord는 다음과 같이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1985, pp.127-158).

  1단계: 감각 - 지각훈련

        ① 확인(identification)

        ② 분리(isolation)

        ③ 자극 변화(stimulation)

        ④ 변별(discrimination) 

  2단계: 발음훈련; 음의 확립

        ① 청각자극/모방

        ② 조음점 지시법

        ③ 운동-근운동법

        ④ 음 접근법

  3단계: 발음훈련; 안정화

        ① 독립음

        ② 무의미 음절

        ③ 단어

        ④ 구

        ⑤ 문장

        ⑥ 회화

  4단계: 전이

  5단계: 유지

  이상에서 Secord는 감각?지각훈련, 발음훈련, 전이, 유지의 단계로 나누었고, 발음훈련 단계를 음의 확립과 안정화로 나누어 제시했습니다.



3.4 석동일의 모델

  석동일(1988, pp.169-232)은 다음과 같이 치료 단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단계: 확립

       ① 지각훈련

       ② 조음훈련

         ?모방법

         ?전후 관계법

         ?조음점 지시법

         ?점진적 유사법

  2단계: 전이

  3단계: 유지

  이상에서 석동일은 확립, 전이, 유지의 세 단계로 제시하였고, 지각훈련 단계를 별도의 단계로 나누지 않고 확립의 단계 속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유지 단계를 제시한 점이 특색입니다.

  지금까지 논의된 네 사람의 모델을 비교해 보면 다음 표 3.2와 같다.



<표 3.2>  전통적 기법의 기본 구조 비교

기본구조 / 연구자

Van Riper

Powers

Secord

 석 동 일

감각?지각훈련

0

0

0

    0

  음의 확립

0

0

0

    0

  음의 안정

0

 

0

 

  전이

0

0

0

    0

  유지

 

 

0

    0




  표에서 보면, 네 사람이 모두 제시하고 있는 것은 감각?지각훈련, 음의 확립, 전이이고, 음의 안정 및 유지는 두 사람만 절차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의 독립된 단계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의 안정과 유지의 훈련 내용을 다른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조음치료에서 전통적 기법의 기본 구조는 감각?지각훈련 - 음의 확립 - 음의 안정 - 전이 - 유지의 5단계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전통적 치료기법에서 청능훈련은 필수적 과정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윗글 조음장애 치료의 전통적 기법2
아래글 조음 평가

   
38 치료 언어장애의 개념과 정의 [1] 특수교육
37 치료 조음장애 치료시 고려사항 특수교육
36 치료 기질적 조음장애 - 운동조음장애 특수교육
35 치료 조음장애치료-기타기법 2 특수교육
34 치료 조음장애치료-기타기법1 특수교육
33 치료 조음장애치료-변별자질접근법 특수교육
32 치료 조음장애치료-행동수정 접근법 특수교육
31 치료 조음장애치료-의사소통중심법 특수교육
30 치료 조음장애 치료의 짝자극기법 2 특수교육
29 치료 조음장애 치료의 짝자극기법 1 특수교육
28 치료 조음장애 치료의 전통적 기법2 특수교육
27 치료 조음장애의 치료의 전통적기법1 특수교육
26 치료 조음 평가 특수교육
25 치료 조음장애의 원인 alza
24 치료 청각장애 언어훈련 프로그램 특수교육
12345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