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5-02 (일)
분 류 특수교육일반
ㆍ추천: 0  ㆍ조회: 3804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김동연, 안현숙



A. 공간개념에 관한 선행개념

 시각장애아동 특히 선천맹아는 감각투입의 종류나 양에 있어서 제한되기 때문에 공간개념의 발달이 지체될 수 있다. Bateman은 전맹이나 약시아동이 정보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감소되지는 않는다고 제안했지만 만약 아동이 탐구의 기회가 상실되거나 모빌리티의 부족이 원인이 된다면 일반아동보다 인지적인 능력의 발달이 지체될 것이다. 약시장애아의 공간개념 형성에 관한 고전적 연구의 대표자인 Senden은 1932년의 연구에서 [선천맹은 공간을 촉각만으로 지각할 수 있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진술했다. 즉 그는 백내장 수술로 인하여 볼 수 있게 된 선천맹아의 수술전과 수술후의 행동을 관찰하였는데 선천맹은 다른 감각양식을 통해서는 완전한 공간인식을 할 수 없으며 거리와 같은 공간의 인식은 시지각에 의존한다는 부정적인 결론은 맺고 있다.

 맹아가 공간관계를 시간에 의해서 인식한다는 연구가 일찍이 Worchel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는 33명의 전맹아(선천맹, 후천맹)와 같은 수의 정안아동(눈을 가린 아동, 눈을 가리지 않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스스로 8개의 직각삼각형의 양쪽을 따라 출발하여 사면을 경유, 출발점으로 되돌아오게 한 다음 네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맹집단은 각도를 따라가기에 있어서는 열등했지만 시간에 의한 거리추정은 열등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정안자들은 촉각에 의한 형체지각과 공간관계의 영가적조작, 공간 오리엔테이션 등에서는 맹인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촉각적 형태의 인지에서는 정안자와 같이 잘판별할 수 있었으며 특히 그의 연구결과에서 추출된 것을 천맹시기가 공간관계의 조작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이다. Drever는 Worchel의 연구를 응용하여 연구를 계속한 바 있는데 후천맹에 비해서 선천맹아는 공간지각의 제한이 일반화 되어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특히 양집단 무두의 공간 지각능력은 시각적 양식이건 촉각-근육 감각적 양식이건 간에 오랜기간의 경험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드는 결론을 맺고 있다. 공간관계 인식에 대한 시각의 역할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연구를 더 고찰해보면 Juurmaa와 Hartlage의 연구를 들 수 있다. Juurmaa는 228명의 교육적맹을 대상으로 하여 촉각적 공간성 촉각적 판별 그외에 다른 몇가지 인지능력을 조사했는데 연구결과에 의하면 시각장애의 정도와 공간능력 및 촉각변별간에는 부적관계가 있다고 제시되었다. Hartlage는 2,3,4,7,12 학년의 맹아동 100명과 일반아동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적 성격을 가진 문항 16개 (예컨데 너는 철수 앞에 있다. 철수는 영희앞에 있다. 너는 영희앞에 있느냐 뒤에 있느냐?)  , 비공간적 성격을 가진 문항 16개 모두 32문항을 제시하여 답하게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모든 학년의 맹집단은 공간적인 문항에서는 일반아동보다 성취점수가 현저하게 낮았으며 비공간적 질문에서는 양집단에 차가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은 공간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Hunter의 연구가 있다. 그는 세가지 실험을 통해 선천맹의 공간지각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선천맹은 굽은면을 지각하고 이것을 평평한 면으로 조작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선천맹은 습관적으로 크고 작은 차원을 과소평가 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환경이나 어떤 크기의 추정이 정안자에 비해 제안된다고 할 수 ldT다는 것이다. 공간에서의 물체 방향을 요구하는 실험에서도 열등하였고 부가해서 선천맹은 다양한 자극의 형태를 활용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고 물체의 조작이 서툴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부정적인 연구에 비해서 Fraiberg, Siegel과 Gibson은 선천맹이 자기 신체에 관한 지식, 조정 그리고 운동량에 기초한 공간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했으며 Revwsz와 Lowenfeid는 전맹자는 촉각적으로 공간을 지각하는 능력이 있으며 필요한 것은 신체운동이라고 했다. 또한 후자는 선천맹의 창조적 예술활동을 연구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선천맹아는 계속해서 지각되는 촉각적 느낌의 통합의 활동을 통해서 동시에 일어나는 공간영상을 성취하는 능력이 있다고 하였다. 특히 시각적 심상과 관계한 연구를 한 바 있는 McReynolds와 Worchel은 기숙제 맹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가깝고 먼곳을 아는 능력에 관한 연구를 했다. 그들은 연구 끝에 시상은 지리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맹아들은 다른 감각으로 공간관계 인식을 발달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한편 시각적 심상에 관한 연구는 Worchel이나 Drever가 지적한 선맹시기에 관계된 발견을 지적해 주고 있으며 시각적 심상이 있고 없음에 따라 맹아동의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시 취급되고 있다. Bartley는 시각적 심상에 촉각적, 근육운동 감각적 공간지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는 후천맹은 촉각으로 물체를 조작하는데 있어서의 지각형성을 위해 시각적 심상을 이용하며 둘째는 후천맹은 인지적 지도와 같은 공간의 구조에서 시각적 심상을 사용하며 셋째는 시각적 심상은 선맹시기에 크게 의존된가는 것이다.

 Sylvester도 시각적 경험을 가진 맹은 경험을 갖지 못한 사람에 비하여 촉각적 표현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준다고 하였고 Plata는 그의 실험연구에서 축각적심상은 시각적심상보다 열등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그러나 적당한 훈련을 통해서 맹과 정안자 사이의 차를 줄일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Gibson과 Walk는 높이 등과 같은 특별한 공간을 유아가 지각할 수 있다고 하여 Dreber등의 주장과는 다르게 공간지각 발달이 비교적 오랜 과정이라는 의견에 도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몇가지 연구들도 지금까지 논의한 바와 같이 맹아의 공간지각이 열등함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가지 사항이 부과되어 있다. 첫째는 후천맹이 선천맹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이는 어느 정도의 시각적 경험이 전혀 그런 경험을 못했던 것보다는 도움이 된다는 걸 나타낸다. 두 번째는 Senden의 부정적 관점과 특히 연관된 문제로서 모든 연구들이 맹인간의 상당한 개인차가 있음을 보고 했는데 어떤 맹인은 정안자만큼의 성취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맹인의 인지구조 결함을 말할때는 그들 각 개인이 아니라 집단 전체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란 점을 상기해야 한다. Casey(1978)의 연구결과는 후자의 문제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10명의 선천맹과 10명의 약시아로 하여금 그들이 1년이상이나 다녔던 학교 캠퍼ttm를 작은 모형으로 만들어 보게 하였다.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숫자와 조직적 정확성에 의거하여 각 모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시학생의 점수가 맹인학생의 점수보다 좋았다. 모든 선천맹아의 모형은 그들이 그 건물내의 구성물간의 상관관계(구성물배치도)를 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하였고 건물내의 통로구조를 상당히 잘못알고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그러나 Casey는 몇몇 맹인이 그 과제를 매우 잘 수행했고 그들의 이러한 성과는 혼자서 돌아다닐 수 있는 정도와 관계가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불행히도 이러한 상관관계를 밝힐만한 인관관계가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캠퍼스를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있다는 사실이 공간지식을 넓혀 준다는 것은 매우 가능성있는 이야기이며 환경을 심상으로 재현하는 능력이 발달하면 환경을 보다 자유로이 탐구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상당히 가능성 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선 좀 더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Rieser(1980)와 그의 동료들은 맹인의 인지지도에 대한 두 번째의 체계적인 연구를 내놓았다. 그의 연구에서는 4명의 선천맹, 4명의 후천맹, 4명의 정안자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했고 그들 세 집단이 모두 매일 다니는 재활센터에 15개의 지표를 설정하여 그들간의 상대적 거리를 알아맞취보도록 했다. 어떤 지표는 직선상의 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가 하면 다른 것들은 벽으로 갈라 놓여져 있어서 통로의 방향을 회전해야만 그곳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첫째는 피험자로 하여금 단순히 세 개의 지표들간의 거리를 비교하게 하고 그 중 가장 가까운 두 개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를 지적해 보게 하였고 둘째는 첫 번째와 똑같은 일을 하되 보폭에 의거하여 실제거리를 명확히 측정해 보도록 했다 세 번째는 벽을 뚫고 들어간다는 전제하에서 지표간의 직선거리를 알아맞취 보라고 했다. 이 연구결과 집단간에 매우 흥미로운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것은 맹인보다 정상인이 우수하다는 흔히 알고 있는 우리의 상식보다는 훨씬 흥미로운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달리 말해서 건물을 충분히 돌아 다니게만 한다면 맹인도 정상인처럼 지표위치간의 보폭거리를 잘 알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세 집단 모두 첫 번째 실험을 보폭거리에 의해 수행하였는데 집단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세 번째 실험은 기하학적 지시하에서는 선천맹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측정 정확도에 있어 매우 떨어져 있었으며 약시집단 보다는 후천맹인 집단의 측정정확도가 더 떨어졌다. 마지막으로 다원측정법을 기하학적 과제에 적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똑같았다. 이결과 맹인은 지표위치간의 기하학적 거리를 과정해서 더 멀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걸 알게 됐으며 맹인들은 회전점이나 모퉁이와 같은 것들에 의해 공간구조를 기능적으로 분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하학적 측정에서 나타난 상당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Rieser와 그의 인지적 지도가 놀랄만큼 정확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므로써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Senden의 부정적 결론이나 Casey의 최근 연구결과가 모든 환경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이 분명하다.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맹인도 환경을 충분히 경험만 하면 공간적 위치를 상당한 정도로 정확히 학습할 수다 있다고 본다.        



B. 한국 맹아동의 공간능력에 관한 연구

 Ⅰ. 연구의 목적

  1) 맹아의 공간능력을 구명한다.

  2) cjsaoud시기가 공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한다.

 Ⅱ. 연구방법

  1) 본 연구의 대상은 시각장애자는 대전 D맹학교와 목포 M맹학교에서 선천맹과 후천맹으로 판별된 아동 30명과 정상 아동들은 남원 N학교 30명을 각각 무작위 표집하였다. 단 여기서 중복장애아는 제외되었다.

  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공간능력의 설문지는 Hartlage가 개발한 공간문항과 비공간문항으로서 총 32문항을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3) 자료처리

 집단별, 문항별로 CR검증에 의해서 유의차를 밝혔다.

 Ⅲ. 결과 및 해석

<표 3-1> 공간능력에 대한 집단별, 문항별

 

공간

비공간

정상

N=30

M

SD

 

12.3

 2,15

 

12.9

 2,65

선천맹

N=15

M

SD

 

6.67

2.60

 

10.33

 2.27

후천맹

N=15

M

SD

 

8.4

2.22

 

10.33

1.54

 

CR

정상-선천맹

7.25***

4.63***

정상-후천맹

5.62***

4.15***

선천맹-후천맹

1.97***

0.10

                                   *P< .05       ***P< .001



표 3-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간능력을 다룬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아동과 맹을 비교해 볼 때  .001수준에서 유의차를 보였다.

 즉, 맹아동이 일반아동보다 공간능력에서 열등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맹의 경우는 단지 그들에게 이용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단서는 비시각적인 것이고 충격을 주는 자극에 의존하게 되며 그들은 대상물에 대한 시각인지력을 상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안아의 경우는 자기 대상물에 대해 공간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준에서는 공간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용할 수 있는 자신의 준거가 없는 맹아는 항상 정앚아보다 공간능력에 열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천명시기에 따른 선천맹에 있어서는 공간문항에서만 5% 수준에서 유의차를 보여 선천맹은 비공간 문항을 해결하는 능력보다는 특히 공간문항에서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후천맹보다는 선천맹이 공간능력에 있어 열등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특히 Hartlage가 지적한 바와 같이 맹아동이 공간적인 영역에서는 일반 아동보다 성취점수가 현처하게 낮으나 비공간적인 영역에서는 양집단에 큰 차가 없다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부합됨을 증명해 주고 있다. 또한 Sylverster와 Plata는 시각적 경험을 가진 맹은 경험을 갖지 못한 사람에 비하여 촉각적 표현 공간능력을 인지하는데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Bartely가 지적한 바와 같이 시각화 하는데 있어서 인지적 지도와 같은 지각형성을 위해 시각적 심상을 이용하며 시각적 심상은 천명시기에 크게 의존한다는 주장으로 미루어 보아 실명시기에 따른 시각적 경험이나 심상이 공간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입증해 주고 있다.

 Ⅳ. 결론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맹아는 공간개념에 있어 정상아보다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천맹이 후천맹보다 공간능력에 열등한 것으로 나타나 실명시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부록>           설문지의 예

공간문항

비공간문항

16

16





1. 너는 철수앞에 있다.

  철수는 영희앞에 있다.

  너는 영희앞에 있느냐?

①영희앞에 있다.

②영희 뒤에 있다.

③잘 모르겠다.

2. 너는 철수의 오른쪽에 있다.

  철수는 영희의 오른쪽에 있다.

  너는 영희의 오른쪽에 있느냐?

  너는 영희의 왼쪽에 있느냐?

1. 영희는 너보다 더 키가 작다.

  너는 철수보다 키가 작다.

  철수는 영희보다 키가 크다고 할 수     있겠는가?

  작다고 할 수 있겠는가?

①영희보다 작다.

②영희보다 크다.

③잘 모르겠다.

2. 너는 철수보다 빨리 달린다.

  철수는 영희보다 더 빨리 달린다.

  너는 영희보다 빨리 달리느냐?

  너는 영희보다 늦게 달리느냐?




참고문헌

권기덕, 김동연, “시각장애자의 개념발견을 위한 탐구적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제4 집. 1983. PP.105-117

김동연, “보행훈련 프로그램의 구조연구”. 미간행. 대구대학교 박사논문, 1984.

Hartlage, L. C. "The role of vision in the development of spatial 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ville, Louisville, Kyo, Ann Arbor, Mich: University       Microfilms, 1968.



































       
이름아이콘 특수교육
2011-01-26 15:33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윗글 시각 장애아 미술의 치료적 입장
아래글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86 특수교육일반 정신지체아동의 신변처리 [1] alza
85 특수교육일반 학습장애아 교수­학습지도법 [2] alza
84 특수교육일반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논문자료 있는 곳 [2] 특수교육
83 특수교육일반 대학의 특수교육과 정보 [2] 특수교육
82 특수교육일반 보행 교육의 개념 특수교육
81 특수교육일반 맹중복·중증장애 아동의 특성과 교육 특수교육
80 특수교육일반 시각 장애아 미술의 치료적 입장 [2] 특수교육
79 특수교육일반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1] 특수교육
78 특수교육일반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특수교육
77 특수교육일반 시각 장애인의 성교육 방향 특수교육
76 특수교육일반 특수교육 교육성과 평가 방안 연구 특수교육
75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4 - 품행장애와 부적절한 자기-통제 특수교육
74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3 - 호기심과 과제지향에서의 초기 일탈 특수교육
73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2 - 주도성과 초기 사회화에서의 일탈 특수교육
72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 - 자폐증: 영아기의 중증 일탈 특수교육
1234567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