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5-02 (일)
분 류 특수교육일반
ㆍ추천: 0  ㆍ조회: 2371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林 安 守1)





Ⅰ. 緖論



盲敎育者들은 盲兒童에게서 몸을 흔들고 손가락으로 눈을 부비는 것과 같은 行動을 보아왔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行動을 어떻게 豫防하고 어떻게 교정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硏究나 대책이 없이 단순히 그런 행동을 지적해 줌으로써 사회적으로 認定받지 못하는 버릇을 고치려고 노력했다. 최근에 이르러 美國을 비롯한 先進國에서는 盲兒童에게 나타나는 매너리즘 행동을 豫防하고 治療하기 위하여 많은 硏究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 매너리즘행동과 관계되는 학술적 理論과 原理가 밝혀졌고 盲兒童에게 사용할 수 있는 方法들이 開發되었다. 그 結果 부모와 교사들은 실질적인 도움을 받게 되었다. 어린 맹아동의 매너리즘 行動은 즉시 주의를 기울여야할 문제인가? 아니면 아동이 成長해 감에 따라 그러한 행동이 대체로 없어지는 傾向이기 때문에 正常的인 행동으로 무시해도 좋을 것인가? 그 대답은 각 아동에게 달려있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들은 盲兒童의 興味를 發達시키고 다양한 活動에 參加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行動으로 轉換시키도록 노력해야한다.

盲兒童에게서 매너리즘을 發見한 전문가들은 이 行動 特性을 盲人癖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自閉症 情緖障碍 精神薄弱과 같은 다른 障碍領域의 아동들에게도 매너리즘 행동이 흔히 발견되기 때문에 盲人癖이란 用語가 부적합한 것이 認定되었고 최근에는 매너리즘이란 말을 사용하고 있다.



Ⅱ. 매너리즘의 原因



完全 失明 또는 부분적 失明 자체는 매너리즘이나 틀에 박힌 固定行動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失明의 環境 속에서 물체와 사람과 相互作用을 하는데 아동에게 어려움을 줌으로써 이러한 행동이 표면으로  表出된다.

어린 視覺障碍 兒童들이 보여주는 매너리즘의 배후에 숨겨진 원인들은 복잡하고 서로 깊은 관계가 있다. Eichel은 이 분야의 문헌을 검토하고 가장 흔히 言及되는 매너리즘을 골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1) 環境的 失調(Environmental deprivation)

2) 自己 刺戟과 自閉症과 같은 行動(Self-Stimulation and Autistic-like Behaviors)

3) 自己 色情的 行動(Autoerotic Behaviors)

4) 自體活動의 代置(Physical Activity Substitiutes)

5) 부모와 자녀간의 잘못된 상호작용(Faulty Parent-Child interaction)

6) 긴장에 대한 반응(Reaction to stress)

7) 視覺的 feed-back의 結果(Lack of Visual feed back)

8) 反復을 통한 學習(Learning through repetition)

9) 發達(Development)

10) 適應行動(Adaptive Behaviors)

11) 症狀 代置(Symptom Substitution).

原因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전문가들까지도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그 행동방향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많은 硏究는 매너리즘 行動을 修正하는 데 집중했고 그 行動의 原因에 대하여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障碍兒童의 매너리즘의 原因에 대한 학설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精薄兒의 常同的 行動 硏究에서 첫째 自己 停滯說 , 둘째 發達說, 셋째 個體說, 넷째 力學說, 다섯째 學習說 등 다섯 가지 항목으로 분류했다.



Ⅲ. 매너리즘의 분류



오래동안 盲兒童의 매너리즘, 行動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分類하지 않은채 몸 흔들기(Rocking)와 눈 부비기(Eye Rubbing)등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Eichel은 盲兒童 26명의 매너리즘 행동을 관찰한 결과 4명이 흔들기 매너리즘을 다른 4명이 눈 부비기 행동을 보여 주었다. 이 두 가지 매너리즘 행동을 보여 준 아동은 전체의 1/3도 되지 못했다. 그러나 몸 흔들기와 눈부비기만이 흔히 취급된 것은 실제연구에서 매너리즘 행동의 빈도를 세지 않았기 때문이다. Eichel은 盲兒童의 매너리즘을 신체적 부위별로 분류했고 그 각 행동을 經度, 重度, 强度의 3단계로 다시 분류했다. 두 신체 부위가 동시에 매너리즘 행동을 보여 주는 것도 기록함으로써 앞으로 교사나 전문가들에게 과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그 구체적인 分類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얼 굴

* 얼굴의 찡그림-얼굴이 찡그려지거나 일그러지는 것.

* 입의 삐죽임-입을 삐죽거리거나 모양이 일그러지는 것.

* 혀 날름거리기-번갈아가며 반대방향으로 혀를 움직이는 것.



머 리

* 머리 부딪치기-머리로 물건과 살짝 살짝 접촉 시키는 것.

* 머리 끄덕거리기-머리를 앞?뒤 방향으로 끄덕거리는 것.

* 머리 돌리기-머리를 빙글빙글 돌리는 것.

* 머리 흔들기-머리를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

손과 팔

* 손뼉 치기-몸의 중앙선 앞에 양손을 펴고 박수를 치는 것.

* 눈 후비기-손가락으로 눈을 후비는 것.

* 눈 비비기-손을 펴거나 주먹을 쥐고 눈을 비비는 것.

* 얼굴 손대기-손가락이나 손으로 얼굴을 대는 것.

* 손가락 조작-한 손가락으로 다른 손가락을 순서에 따라 접촉시키는 것.

* 팔 흔들기-몸의 정중선과 평행으로 팔과 손을 흔드는 것.

* 손 까불기-몸의 정중선과 평행으로 손목으로부터 손을 까부는 것.

* 손의 주목-고개를 손 방향으로 하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눈 앞면에 손을 드는 것.

* 손바닥 치기-손을 펴고 손바닥으로 물건을 치는 것.

* 물건 흔들기-물건을 손에 들고 손을 흔드는 것.

* 손가락으로 두드리기-손을 펴고 손가락으로 물건이나 몸의 다른 부분을 가볍게 두드리는 것.

* 주먹 치기-주먹으로 머리 양측을 두드리는 것.

* 손 문지르기-손을 펴거나 주먹을 쥐고 손에 압력을 가하여 문지르는 것.

* 손바닥 치기-손을 펴고 몸의 다른 부분을 두드리는 것.

* 손으로 쓰다듬기-손을 펴고 손바닥으로 부드럽게 쓰다듬는 것.

* 손가락으로 두드리기-한 손가락 또는 여러개의 손가락으로 몸이나 다른 물건을 반복적인 방법으로 두드리는 것.

* 팔 흔들기-손을 몸의 중앙선을 향하게 하고 몸의 정중선과 평행 방향으로 팔과 손 전체를 흔드는 것.





몸과 전신

* 뛰기-서서 발을 마루와 접촉을 반복적으로 떼는 것.

* 上體 흔들기-앉거나 서서 허리 위에 上體를 前?後로 흔드는 것.

* 몸 굴리기-누워서 몸을 앞?뒤로 굴리는 것.

* 서서 몸을 흔들기-주로 서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 어깨 흔들기-서서 한쪽으로 양 어깨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





다리와 발

* 발을 움직이기-어떤 방향으로건 발을 움직이는 것.

* 차기-다리를 앞?뒤로 탁 차는 것.

* 발 구르기-다리를 上?下방향으로 힘주어 마루를 구르기.

* 다리 흔들기-앉아서 다리를 지탱한 상태로 전후로 흔드는 것.

많은 학자들이 매너리즘을 細分化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그들은 體系的인 관찰로부터 쌓아올린 臨床的 자료를 토대로 하여 分類하지 않았고 분류의 기준도 없었다. Cratty(1971)는 200명의 盲兒童을 관찰하고 그들에게서 흔들기의 서로 다른 측면들이 있음을 발견했다. 흔들기는 각 아동에게 비교적 계속적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흔들기는 하루 중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의 分類는 그 행동이 나타나는 신체부위에 따라 분류해서 매너리즘을 체계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根據를 마련해 주었고 매너리즘의 동시성, 계속성, 및 강도와 같은 다른 측면들도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Ⅳ. 매너리즘의 豫防



가능한 原因을 제시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어린 盲兒童의 매너리즘은 豫防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서 대부분의 경우에 早期에 特別指導를 한다면 이러한 행동이 처음으로 나타날 기회를 效果的으로 줄일수 있을 것이다. 指導訓練의 長期 目標는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能力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고 부적당한 反復行動은 이러한 發達을 沮害한다. 프로그램에 참가시키는 방법과 단순히 매너리즘행동을 指導하는 것만이 매너리즘 行動을 豫防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盲兒童을 위한 效果的인 지도계획은 그 아동의 매너리즘의 原因을 分析하고 原因對策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 盲兒童의 경우에는 早期敎育을 받지 않고 있기 때문에 盲學校에 入學할 때까지 盲敎育者들의 눈에 뜨이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의 조건이 충족될 때 盲兒童은 가장 적합하게 發達한다.

1) 兒童의 視覺障碍를 즉시 識別할 때.

2) 視覺障碍의 識別과 동시에 가족을 대상으로 써비스를 시작할 때.

3) 早期 兒童 發達에 영향을 주는 視覺障碍의 結果에 대한 풍부한 知識이 있고, 가족의 상호작용의 精神力學에 經驗을 가닌 專門家가 써비스를 提供할 때.

4) 부모와 자녀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써비스의 回數와 지속성이 유지될 때.

5) 盲兒童과 보는 아동에 대한 早期 發達過程에 대한 최근의 知識에 바탕을 두고 아동을 治療할 때.

6) 다른 분야를 제외한 한 가지 발달 분야에만 집중하지 않고 여러 가지 측면을 치료할 때.

7)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는 보는 아동이 우연히 성취하는 과제에 대하여도 盲兒童에게 직접 가르치도록 만들 때, 이 프로그램에는 아동 스스로 步行하게 하고 놀이를 배우고 情緖를 表現하고 호기심을 갖고 탐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포함된다.

Fraiberg(1969)나 Burlingham(1965)의 관찰에 따르면 운동기구의 사용은 몸통운동과 전신운동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잇다. 그네를 탈때는 매너리즘 행동을 보여 주지 않았다. 대체로 매너리즘 행동이 적합한 刺戟의 ?如 때문이라고 하더라도 그 관찰은 또한 매너리즘과 관계되는 행동을 할 때 사회적으로 認定받고 긍정적인 수단을 통하여 强化해준다면 아동은 매너리즘 행동을 발달시키지 않는 경향이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매너리즘 행동 예방에 중요한 의미를 준다. 만일 專門家들이 乳兒期부터 盲兒와 부모에게 의식적인 노력을 한다면 매너리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고 盲兒童에게 놀이를 통하여 적합한 외부자극을 제공해 준다면 正常的으로 發達할 뿐만 아니라 그 兒童의 發達水準에 맞게 지도한다면 매너리즘을 방지할 메카니즘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Ⅴ. 매너리즘의 治療와 治療節次

1. 매너리즘의 治療



盲兒童의 매너리즘 行動에 대한 知識이 制限되어 있고 經驗的인 연구보다 臨床的 觀察과 推理에 限界를 두고 있기 때문에 盲兒童의 이러한 행동을 어떻게 除去할 것인가 하는 방법론적 연구가 비교적 적다. 傳統的으로 이 문제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접근방법은 盲人癖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소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쪽으로부터 이러한 행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조직적인 시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부모와 전문가들은 매너리즘 행동에 열중하는 아동에 대하여 흔히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때때로 매우 효과적이다. 매너리즘은 사회적으로 認定받지 못하고 어떤 경우에는 아동에게 해로운 結果를 가져다 준다. 이 행동을 직접 統制할 수 있다고 강조하는데 위험이 따른다. 원인을 고려하지 않고 그 행동을 제거 하려는 데 노력을 집중함으로써 盲兒童에게 다른 행동이 나타나게 할 원인이 될 수도 있다.

盲兒童에게 사용하는 치료방법에는 1) 處罰 2) 緊張弛緩 3) 매너리즘의 의식적 및 목적적 과장과 反復 4) 行動修正 5) 精神醫學的 方法 6) 心象圖의 사용(後天盲을 위하여) 7) 豫防的 측정에 의한 早期 刺戟 8) 대상활동 9) 교정수술 10) 몸의 구조와 동작에 대한 의식의 增大 11) 적합한 반응의 연습 12) 계속적 일깨움(Eichel, 1978).

이러한 방법들은 많은 경우에 效果的임이 증명되었다. 학령 아동기에 이르면 학습 행동이 될 수 있다. 더 나이가 들면 言語能力과 治療技術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理解力을 갖게 하고 사회적으로 認定받지 않는 매너리즘을 제거할 동기를 작게 한다. 이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협력을 받을 수 있다. 아직 어리고 발달해 가는 아동의 유일한 특징을 고려하거나 방법을 修正하지 않고 사용하는 같은 방법은 대체로 前學齡 兒童에게는 부적합하다.

매우 어린 아동에게 治療하려는 노력의 범위는 매너리즘 행동의 結果에 따라야 한다. 각 아동의 매너리즘의 정도는 다르다. 이 매너리즘 행동은 크게 세 項目으로 分類할 수 있다.

1) 명백히 아동에게 害가 되는 매너리즘 아동을 環境으로부터 차단시키고 사회성 發達을 沮害하고 학습을 저해하며 신체적으로 부당한 행동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 治療는 반드시 필요하며 즉시 治療 計劃이 조성되어야 한다.

2) 보다 덜 發生하는 매너리즘도 부모와 교사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아동 자신에게 해롭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이 유목의 매너리즘도 治療를 받는데 있어서 아동의 攻擊性, 强度, 頻度 및 아동의 발달 연령에 달려 있다.

3) 미미하고 자주 나타나지 않는 매너리즘도 아동에게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고 本質的으로 轉移한다. 이 경우는 治療는 모든 분야에서 發達을 중진 시킬 수 있는 적절한 敎育經驗을 提供하는 방향으로 進行되어야 한다. 이 유목에 속하는 많은 매너리즘은 아동의 세계가 확장됨에 따라 사라지고 그 行動에 대한 욕구도 사라진다.

적합한 치료는 盲兒童에게 매너리즘의 頻度를 減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식적인 접근방법은 원하지 않은 행동을 誘發시킬 수도 있다. 나이가 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 盲兒童 집단의 매너리즘이 어떤 發達段階에 있어서 아동에게 특별한 욕구를 充足시켜주는 행동으로써 처음에 시작 되었던 學習된 행동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매너리즘 행동을 중지하게 하고 아동의 주의력을 다른 곳으로 轉換시키고 또 부모와 교사로 하여금 아동이 그 행동을 强化하는 것은 見責하여야 한다.

盲兒童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작용할 때 그 아동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때때로 매너리즘이 特殊한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어떤 특정 경우에는 常同化행동이 그 아동에게 가장 적합한 행동일 수도 있다. 부모와 교사들은 경우에 따라서 아동으로 하여금 매너리즘을 직접 除去하도록 돕지 않을 뿐만 아니라 環境 속의 아동을 觀察하므로써 즉 그 행동의 ?刈와 結果를 注目하고 매너리즘의 慾求를 減少시키기 위하여 환경을 바꾸고 필요한 발달을 성취할 수 있는 기능을 아동에게 제공한다. 주의 깊은 관찰로부터 얻은 이러한 방법은 성인의 세계와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아동 자신의 이야기로 해석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단 아동의 행동이 관찰되면 具體的인 治療 計劃을 세워야 한다.



2. 매너리즘의 治療 節次



매너리즘의 治療 節次에는 3段階가 있다.

제1단계 : 매너리즘에 대한 慾求를 減少시킬 수 있도록 環境을 바꾼다.

주의깊게 관찰해 보면 매너리즘행동은 대체로 특정상황이나 일정한 시간 또는 어떤 특정人物과 함께 發生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능하다면 부모나 교사는 환경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환경이 매너리즘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물건을 빙빙 돌리거나 반복적인 방법으로 특정 장난감만을 가지고 노는 아동은 그의 환경으로부터 그 물건을 일시 치워 놓으면 그러한 행동을 감소키는 경향이다. 하루 중의 시간에 매너리즘이 증가되는 것은 외적 요인에 의하여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배가 고프거나 피로한 아동 또는 많은 욕구나 새로운 상황을 극복하고 있는 아동은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너리즘행동을 보여 줄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외부 세계의 모든 욕구로부터 도피하는 수단으로 매리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아동과 접촉하거나 가르치려 시도할 매너리즘행동의 빈도수가 높아 지고 아동의 인내수준은 점차로 상승되어야 한다.

제2단계 : 매너리즘행동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인정받는 아동을 가르친다.

행동은 정확한 이유로 존재한다. 대상행동을 가르쳐 주지 않고 하나의 행동을 除去하는 것은 認定받을 수 없는 다른 행동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른 행동을 가르치는 것은 매너리즘을 감소시켜줄 것이다. 좋아하는 장난감을 주고 놀이 행동에 참가하도록 직접 가르쳐 주는 것은 매너리즘행동의 빈도를 감소킬 수 있을 것이다. 성취하기 어려운 동작의 욕구를 갖고 있는 아동에게 사회적으로 認定받을 수 있는 행동의 출구를 발견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아동의 동작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부모와 교사는 조기의 운동 근육의 독립성을 갖도록 격려하거나 아동이 탐구하는 동작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그네와 장난감을 준다.

제3단계 : 아동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결과의 認知能力을 發達시키고 認定받을 수 있는 행동을 강화한다.

어린 盲兒童의 매너리즘행동을 보고 지나쳐 버린다고 해서 매너리즘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수 없을 것이다. 이 방법은 사회적 결과가 강화해 주는 행동에 적합하지 않다고 해도 대체로 어린 盲兒童에게 있어서 매너리즘행동의 강화는 직접 成人의 통제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매너리즘행동을 지나쳐 버리는 것도 이 행동들이 보다 확고하게 굳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부모와 교사가 强化해 줄 때 매너리즘과 양립할 수 없는 행동 즉 認定받을 수 있는 행동의 빈도가 높아진다. 어린 盲兒童에게 주는 긍정적인 보상에는 신체적으로 表現되는 애정과 칭찬의 형태로 나타나는 부모의 관심이 포함된다. 흔들어 주고, 안아 주고, 쓰다듬어 주고, 노래를 불러 주는 것과 같은 행동은 많은 아동에게 즐거움을 준다. 때때로 사회적 강화제로 연상되는 적은 음식물은 최초의 행동을 形成시켜 주는 데 도움을 준다. 각 아동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Ⅵ. 結 論



매너리즘의 定義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이해하는 데 혼란을 주기 쉽다. 그래서 매너리즘의 行動 特性을 묶어 일반적 定義를 내렸고 매너리즘의 原因과 學說이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原因과 學說을 分析하고 說明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매너리즘 행동이 體系的으로 分類되지 않아 정확하게 治療하는데 어려움을 주었다.

과거에는 매너리즘 行動 特性을 중심으로 分類하려 했으나 최근의 연구에는 매너리즘 행동이 나타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분류하였기 때문에 行動을 體系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이러한 매너리즘에 대한 원인과 분석을 검토하고 그 豫防과 治療에 관하여 검토했다. 盲兒童의 매너리즘 行動을 治療하는데 行動修正 方法을 사용한 연구 결과가 많다. 매너리즘을 치료할 때 盲兒童을 주의깊게 관찰한 후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알아서 그 원인을 除去하고 대상 아동이 너무 어린 경우에는 부모와 함께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매너리즘이 나타날 수 있는 환경을 바꾸어 주고 사회적으로 認定받을 수 있는 대상 행동을 가르쳐 주며 아동의 행동 하나 하나가 사회적인 결과임을 인식시켜 줌으로써 매너리즘행동을 治療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조기에 盲兒童에게 풍부한  刺戟 環境을 마련해 주고 早期 부모 相談과 早期 盲兒敎育을 통하여 매너리즘 行動이 發達하지 못하도록 制度的인 努力을 기울여야 한다.







參 考 文 獻

Burlingham, D. "Some Notes on the Development of the Blind." Psychanalytic Study of              the Child, 16, 1961.

Burlingham, D. "Some Problems of Ego Development of Blind Children."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0, 1965.

Caetano, A. P., and Kauffman, T. M. "Reducation of Rocking Mannerisms in two Blind              Children" Education of the Visually Handicapped 7.4. 1975.

Cratty, B. J. Movement and Spatial Awareness in Blind Children youth.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1971.

Cutsforth, T. D. The Blind Child in School and Society. New York: American Foundatin             for the Blind, 1951.

Eichel, V. J. "Mannerisms of the Bli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72, 4, 1978.

Eichel, V. J. "A Taxonomy for Mannerisms of Blind Childre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73, 5, 1979.

Fraiberg, S., Smith, M., and Adelson, E. 'An Educational Program for Blind Infa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69.

Fraiberg, S. Insights from the Blind. New York: New American Libreary, 1977.

Hoshmand, L. T. "Blindisms: Some Odservations and propositions," Education of the               Visually Handicapped, 7.2.1975.

Heiner, D. "Mannerisms: A Preschool Practioner's Point of View" Education of the                 Visually Handicapped, 10. 2. 1980.


1) 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본회 부회장, 문박)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윗글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아래글 시각 장애인의 성교육 방향

   
86 특수교육일반 정신지체아동의 신변처리 [1] alza
85 특수교육일반 학습장애아 교수­학습지도법 [2] alza
84 특수교육일반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논문자료 있는 곳 [2] 특수교육
83 특수교육일반 대학의 특수교육과 정보 [2] 특수교육
82 특수교육일반 보행 교육의 개념 특수교육
81 특수교육일반 맹중복·중증장애 아동의 특성과 교육 특수교육
80 특수교육일반 시각 장애아 미술의 치료적 입장 [2] 특수교육
79 특수교육일반 시각장애아의 공간개념 [1] 특수교육
78 특수교육일반 盲兒童의 매너리즘과 心理再活 특수교육
77 특수교육일반 시각 장애인의 성교육 방향 특수교육
76 특수교육일반 특수교육 교육성과 평가 방안 연구 특수교육
75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4 - 품행장애와 부적절한 자기-통제 특수교육
74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3 - 호기심과 과제지향에서의 초기 일탈 특수교육
73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2 - 주도성과 초기 사회화에서의 일탈 특수교육
72 특수교육일반 아동기 정신 병리적 행동 - 자폐증: 영아기의 중증 일탈 특수교육
1234567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