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자폐아동의 언어치료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5-10 (월)
분 류 치료
ㆍ추천: 0  ㆍ조회: 8321      
자폐아동의 언어치료
자 폐 아 동 의 언 어 치 료
원광보건대강사. 연세언어문제연구실원장
김 명 혜
 

1. 자 폐 아 동 의 언 어 및 의 사 소 통 적 특 성
자폐아동을 대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들이 말을 배우는데 얼마나 어려워하
며, 또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말을 배울 수 있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발음도
명료하고 어느날 기적처럼 문장으로 말을 하고, 또 TV에서 나오는 노래를 그렇게
잘 따라하는데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이 되지 않고 이상한지 의아해 하는 점도 많을
것이다. 의사소통이란 어떤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주고 상호작용의 결과로 그 사
람이 주는 메시지를 해석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누군가의 주의집중을 얻
고자 하거나, 어떤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거나, 또는 알고자하는 것을 말해주기를 원
한다거나 하는 다양한 기능 또는 목적을 가진다. 공통적으로 그러한 메시지는 제스
추어라거나 언어에 의해서 전달되며, 그런 의미에서 의사소통욕구는 사회적 관계의
본질이라고 볼 수 있다. 자폐아동들은 감정이나 사회적 의미를 띤 정보들을 처리하
는 과정에서 결함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결함은 의사소통의 규칙을 인식하는 능력
이나 사회적 문맥속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
므로 언어의 여러 가지 영역 중에서도, 사회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화용론적 측면
에서 가장 큰 결함을 나타낸다(김영태,1995; 박은혜,1995; 배소영,1995;).
많은 자폐아들이 정신지체를 동반하는데, 자폐아동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지의
예후는 인지 수준과 관련이 깊다. 인지수준이 매우 떨어질 경우 끝내 언어를 습득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언어를 습득하는 경우에도 그 발달과정이나 특성이 정상
아동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대개의 경우 초어 시기가 정상아동들 보다 늦게 나타
나며, 옹알이의 형태도 정상아동들과 다소 다르다. 말하기를 습득한 자폐아들은 언
어발달이 지체되고 언어의 산출이 특이하다. 일부아동들은 처음에는 함묵증을 보이
다가 점차 반향어 형태의 구어를 사용하게 된다. 자폐아동의 대표적인 언어적 특성
으로 함묵증, 반향어, 음성적 특성, 조음적 특성, 의미론적 특성, 화용론적 특성등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김영태,1995).

(1 )함 묵 증
많은 수의 자폐아들에게서 나타나는 언어와 의사소통의 문제를 살펴보면 거의 절
반정도는 전혀 말을 할 수 없거나 말을 거의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박은혜,1995). 함묵증은 전혀 소리가 없는 무언증(완전함묵증)에서 구어라고 할 수
없는 약간의 소리를 동반하는 기능적(functional)함묵증, 욕구나 거부등 즉각적인 표
현어휘가 충분치 못하여 나타나는 준함묵증(semi-mute)형태까지 다양하다. 완전함
묵증은 언어이해력이 거의 없고, 기능적 함묵증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준함묵증
은 비교적 발달되어 있는데 이것은 자폐 보다는 언어장애아동에서 많이 나타난다.
함묵증으로부터 언어로 발달되는 예후 요인들로는 함묵증의 기간, 지능, 반응도, 음
소산출능력, 구어모방능력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함묵증이 유지된 기간과 지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대략 5- 6세까지 함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언어습득의
예후가 좋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함묵증의 소멸양상을 보면 갑자기 매우 명료하
고 완벽한 문장을 구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런 문장들은 지연반향어의
형태로서 창조적인 언어는 아니다.

(2 ) 반 향 어
반향어는 바로 전에 들은 단어나 문장을 의도나 의미 없이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
다. 일반적으로 반향어는 자동적이고 반사적이지만 그 의사소통 및 인지적 기능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띈다. 반향어는 자폐아동들이 말하는 사람의 구어를 분석되지
않는 통합체로 외워버리기 때문에 창조적이고 융통성있는 구어를 습득치 못해서 나
타난다고 지적하기도 한다(김영태 1995). 발화를 시작한 자폐아동들은 대개 반향어
로 시작한다. 반향어의 형태는 즉각 또는 지연 반향어의 형태로 나타난다. 즉각 반
향어는 대뇌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나오는 것이고, 지연 반향어는 일단 저장되었
다가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한 후에 상기되어 표현되는 것이다. 반향표현 중에는
텔레비젼에서 본 광고문등을 외운 것들을 상황에 맞지 않는 시간과 장소에서 말하
는 경우들이 있어 대부분 의미가 없다. 그러나 반향어를 사용하는 자폐아들은 그들
이 이해하는 것보다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더 쉽게 반향한다.

(3 ) 음 성 및 운 율 적 특 성
다소 비정상적인 특성을 보이는데 대체로 음도(pit ch)가 높거나 음도의 범위가 좁
아서 단조롭게 들린다. 강도의 범위는 정상이라고 볼 수 있으나 때로 상황에 부적
절하게 큰소리로 말하기도 한다. 일부 자폐아들에게서는 목 쉰 소리나 거친 소리
과대비음화의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또 대부분이 억양이나 리듬에 결함을 보여 감
정이 없는 책을 읽는 것 같이 들린다.

(4 ) 조 음 적 특 성
일반적으로 자폐아들의 조음능력은 다른 언어능력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반향어의 경우는 자발어에 비해서 명료도가 훨씬 높다. 또 어떤
경우에는 지나치게 정확한 조음 때문에 운율적인 구어의 흐름이 방해를 받기도 한
다.

(5 ) 의 미 론 적 특 성
자폐아동들이 특히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은 범주적인 어휘와 관계어의 습득이라
고 볼 수 있다. 정상적인 어휘습득단계에서 나타나는 일반화 과정으로 진행하지 못
하고 특정사물을 특정단어로만 명명하는 특정화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즉
장난감 소를 보며 소 라고 학습한 아동이 텔레비젼에 비친 시골 소를 소 라고 지
적하거나 말하기는 쉽지 않다. 또 초기어휘는 감각적으로 고정되어있는 단어들인
특색이 있다. 즉 음식물이나 비생동적인 사물을 명명하는 명사가 많고 다음으로는
색깔, 숫자, 철자 등의 낱말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정상아동들이 사회적, 사교적 또
는 경험적인 단어들(안녕, 빠이빠이 등)을 먼저 사용하는 발달양상과 대조적이다.
관계어의 습득에도 심한 결함을 보인다. 즉 나- 너 온다- 간다, 준다- 받는다, 이- 저,
여기- 저기, 안- 밖, 위- 아래, 로- 에서, 많이- 조금, 큰- 작은, 빨리- 늦게 등 난이도에
따라 다르지만 습득을 어려워한다. 이것은 사회적 관계로서 청자와 화자의 입장을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 어려움이라고 보고 있다.

(6 ) 화 용 론 적 특 성
자폐아동들이 가장 심한 결함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의사소통적 의도 및 규칙에
서 상호주고받기 활동(turn - taking ), 시선 맞추기, 주의 끌기, 의사소통 의욕 등에서
결함을 나타낸다. 언어 이전기 자폐아동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초기 의사소통기능
은 물건이나 활동 요구하기 같은 도구적, 통제적 기능이고 좀 더 높은 수준의 기능
 거의 보이지 않았다.(배소영,1995)

2 . 자 폐 아 의 언 어 및 의 사 소 통 진 단

자폐아동이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위와 같은 제한을 보일지라도 자폐아
동의 의사소통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각도로 의사소통능력을 진단할 필요가 있
다. 평가가 바로 치료의 첫 단계이기 때문이다. 언어진단은 자폐아동의 사회성 발달
을 고려할 때 언어를 명사니 동사니 또는 자음이니 모음이니 하는 식으로 평가하기
보다 그 쓰임새 면에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각 아동의 전반적 언어발달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각 아동의 말소리, 구문, 의미, 형태소
면에서의 발달수준, 또 이해나 산출면에서의 발달수준을 살펴서 화용론적 의미 이
해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그 다음 언어치료의 목적이 정
상적인 언어발달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정상아동의 발달경로를 이들 것과 비교해
서 평가한다. 언어진단은 놀이 중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의 관찰을 통
한 진단과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정상발달연령과의 차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병행하
여 사용한다. 언어진단방법을 간략히 살펴본다.

(1 ) 놀 이 언 어 진 단

가 . 자 료 수 집
언 어 환 경 조 사 아동을 가장 잘 알고있는 사람 예를 들어 어머니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동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활동을 장소별로, 언어적/ 비언어
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두드러진 문제들을 의사소통이 가장 잘되는 상황들과 가장
잘되지 않는 상황들을 기록한다.
구 조 화 된 환 경 에 서 의 놀 이 를 통 한 자 료 수 집 대상아동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놀이언어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언어를 습득해
가는 시기에 있는 아동들에게 가장 의의 있는 진단방법은 놀이를 통한 자발화 수집
이며, 이것은 아동의 의사소통의도 및 언어적 표현 능력을 1대1상황에서 살펴보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때 아동을 잘아는 어른인 교사, 언어치료사, 어머니와 아동 즉
친구, 동생, 형등이 상호작용의 대상이 된다. 수많은 의사소통 단서가 동시에 제공
되는 교실에서와 달리 좀 더 집중적으로 아동의 상호작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관 찰 일 지 및 발 화 , 음 성 행 위 기 록 지 놀이 기록도 철저히 이루어져야 이후의 의
사소통능력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녹화나 상호 작용자외에 제2의
기록자를 두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나 . 분 석
의 사 소 통 의 도 자폐아동들이 특히 약점을 보이는 부분으로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할 의사소통의도들을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첫 단계에서는 아동이 사회적 자
극 (예를 들면 자신의 행동을 따라하는 어른의 행동에 관심을 보이는지)에 대해 관
심을 가지는지 살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아동이 아동에 친숙한 행동이나 발성을
모방하는지, 또 새로운 행동이나 발성을 모방하는지 살핀다. 괴성이나 부적절한 행
동 등의 방식으로 나타나기는 하지만 상황단서를 살펴보면 의사소통의도가 있는 경
우들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의 사 소 통 기 능 언어발달의 초기단계에 많이 쓰여지는 기능으로 명명하기, 행동요
구하기, 인사하기, 부르기, 따라하기 거부하기 등을 관찰기록하며 전언어 단계에서
언어단계로 넘어 올 때 보이는 반향어도 살핀다. 또 아동이 자기주장을 하는지 반
응할 때는 어떻게 하는지의 기록도 같이 해두면 유용하다.
반 향 어 평 가 즉각 반향어중 자폐아동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기능
들은 차례지키기, 시연, 자기통제이다. 지연 반향어에 많이 사용되는 기능은 차례지
키기이다. 이런 반향어는 최근 들어 좀 더 긍정적인 방향에서 해석되고 있으며 특
히 상호작용의 의도가 있고, 이해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상황에 비슷한 반향어의 경
우, 의사소통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언 어 발 달 수 준 평 가 자발적 발화를 수집하여 아동의 현재 언어수준 및 의사소통
수준을 관찰한다. 즉 어휘사용 능력, 구문구조 능력, 조음 능력, 상황인식 능력, 이
해 가능도 등을 평가하여 정상발달수준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발달수준을 알 수
있다.

(2 ) 발 달 연 령 검 사
자폐아에게 많이 사용되는 검사도구로는 의사소통능력을 알아보고 치료에 도움
을 줄 수 있는 도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만 알아본다.
* EA S IC (Ev alu atin g A c quired S kill s in Commun ic ation )
5영역 (언어이전단계, 수용언어I, 표현연어I, 수용언어II, 표현언어II)의 의사소통
기술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서 의사소통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기
술하고 있다.
* CS B S (Communic ativ e an d S ymb olic B eh av ior S c ale s )
유아기의 자폐아동에게서 많이 쓰여지고 있는 전반적 의사소통능력 평가기준으
로서 일곱 가지 측면에서 의사소통을 평가한다: 의사소통기능, 의사소통기능수단(제
스추어), 의사소통수단(발성 및 발음), 상호교류능력, 사회/ 정의적 표시, 언어적 상징
행위 그리고 비언어적 상징 행위 등
이외에 PLS, REEL, MCDI- K, 그림어휘력 검사 ,한국어발달이정표(배소영,1995)
등 대상유아에 적절할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언어발달 검사도구를 사
용할 수 있다.

3 . 언 어 치 료

(1 ) 접 근 방 법
언어평가를 통해 아동의 언어수준을 파악한 다음에 언제 언어치료를 시작할 것
인지를 먼저 결정한다. 시작시기는 치료사마다 다를 수 있다. 즉 언어전 단계에서
의사소통의도가 보일 때 치료를 시작하기도 하고, 어느 정도 언어적 표현이 가능할
때 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언어이전 단계에서부터 시작한다.
자폐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교수방법은 크게 2가지로 접근될 수 있다. 첫째 직
접 교수접근(교수법적 접근, 교사 중심적)이고, 둘째는 자연적 교수접근(환경적 접
근, 아동 중심적 접근)이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이두 접근이 정확히 이분되는 것
이 아니라, 보다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직접교수접근은 중도장애아동에게
사용하는 경향이 많으며 고도로 구조화되고 명확한 교수프로그램이다, 자연적 교수
접근은 다양한 자연적 환경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경험을 통해 그 자신이 통제하는
환경적 사건들 혹은 자극들과의 사이에 적절한 연관을 맺도록 하는 것이다. 자연적
교수접근은 자폐아동의 동기를 유발시키면서 언어의 기능적인 사용과 자발성과 일
반화를 증진시키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접교수법과 자연적 교수법을 정리하
면 아래와 같다(박승희,1995).
 
자폐 아동의 언어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사소통을 하고자하는 욕구내지
는 필요성을 불러 일으켜주는 것이다. 의사소통의 욕구는 기본적으로 말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사람을 통제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첫째로는 타인
의 존재를 인식시켜주고 둘째로는 특정한 방법을 사용해서 그 타인의 행동에 자신
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게 해 주어야한다. 아동이 언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면 자신의 기본적 욕구충족에 필요한 의사소통행동들을 학습하여 사용할 가능성
이 높아진다. 좀 더 높은 단계로의 언어로 나아갈 때 주의 할 것은 똑같이 보고, 만
지고, 행동하려고 하는 동일성을 고집하는 경향이다. 동일성을 수용하면서 아동의
행동목록을 늘려주고 나아가서 아동이 새로운 상황도 받아들여 적응하려고 노력하
게 만드는 것이 언어발달의 필수요소이다
의사소통욕구를 증진시키려는 한가지 전략으로 환경조성의 방법이 있다.
이것은 의사소통 할 이유를 부여하는 전략으로 1) 흥미 있는 자료(물건, 활동)를 이
용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2) 손이 닿지 않는 범위에 바라는 물건을 놓는다. 3) 선호
하는 자료의 불충분한 부분을 제공한다. 4) 선택할 기회를 제공한다. 5) 도움이 필
요하게 만든다. 6) 기대 밖의 상황을 만든다. 이런 환경조성은 어느 단계에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단계에 맞게 의사소통을 쉽게 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
고 있다.

(2 )언 어 지 도 의 실 례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교사나 부모도 사용할 수 있는 언어지도의 방
법을 단계별로 나누어 예를 들어 제시해 본다.(신문자,1995; 박승희,1995)

1 ) 언 어 이 전 기
첫째로, 인지능력의 선행요건을 구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말 사용 이전의 선행
기술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데서 말 만을 하도록 강요한다면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인지적 선행요건으로서 사물의 영구성에 대한 인식과 수단- 목표관계 인식
에 대한 능력은 언어라는 상징을 이해하고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다.
둘째로, 언어전 학습에 중점을 둔다. 눈맞춤이나 주의집중하기에서 시작하여 상호
주고받기(turn - t aking ), 모방하기, 짝맞추기 또는 그림 이해하기 등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모방의 경우도 단순한 동작으로부터 행동, 유희 및 말소리 따라하기
등으로 단계적 발전을 유도한다. 짝맞추기의 경우도 똑같은 사물 짝맞추기에서 시
작하여 조금씩 추상적 상징을 이해하도록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셋째로, 자연적 접근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많이 사용하는 예를 들면 반영하기
(mirroring ): 어른이 아동 옆에서 아동이 무엇을 하고 있나를 관찰한 뒤 그와 모든
행동을 똑같이 따라하는 것을 말한다. 아동은 여기서 자신이 이해되고 있음을 배우
고 그것에 반응을 함으로 상호교류를 갖게 되고 나아가서 아동은 어른의 행동을 모
방하게 된다.
.독백하기(self- talk ): 아동과 어른이 같은 일에 참여하고 있을 때 어른은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을 말로 해주는 것이다 아동의 수준에 맞게 말을 해줄 것이며 이 방법
역시 아동과 어른이 같은 것에 대해 주제를 나누는 것이 된다.
.시간지연전략(time delay procedure): 아동 가까이에 어른이 앉아서 아동이 원하는
것을 보인다(예: 새우깡, 분홍색 크레파스 등). 아동과 눈접촉을 유지하며 아동이 말
할 것을 기다린다. 만약 아동이 말하지 않는다면 적합하게 말하는 것을 모델로 보
여준다. 반응이 있건 없건 아동에게 바라던 물건을 준다.
넷째로, 말과 행동, 과장된 몸짓 등을 겸하여 아동의 이해를 도와주는 것이다. 또
한 되풀이되는 생활에서 반복을 통해 상황을 이해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정
한 행위와 말을 아이가 연결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자극을 준 뒤 차츰 아동 스스로
그 소리를 내거나 말을 하도록 단계적으로 유도한다.

2 ) 언 어 모 방 기
아동이 일단 말을 따라하기 시작하면 우선 이를 격려하고 체계적으로 지도계획을
세워보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음이나 단어의 사용을 받아들여 주며 반응을 준
다. 자폐아에게서는 첫 언어표현이 구나 문장인 경우도 드물지 않으나 말을 시작하
는 단계에서는 우선 한 단어 수준에서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낱말 사용을
시작하면 차츰 첫 50어휘를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어휘목록의 작성시에는 주로 아이의 욕구, 쉬운 어휘, 발음상 어려움이 적은 것, 일
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 활용성이 많은 것 등을 고려한다.

3 )언 어 사 용 기
일반적으로 이 시기에는 아동의 언어, 대화를 분석하여 무엇을 잘못 사용하였나
를 분석해 본 뒤, 그에 대한 교정을 위해 소목표를 정해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전
문가가 아니라도 일상생활에서 아동이 잘못 이야기한 것을 메모했다가 한가지씩 고
쳐 볼 수 있다. 아동이 말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우선 이를 칭찬해 주고 격려하여
자주 사용하도록 돕는다. 두 낱말을 이어 말하기 시작하면 여러 가지 의미관계조합
이 있으므로 다양하게 일반화 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세 낱말 연결을
시작하면 조사나 어미변화의 사용을 보인다 . 자폐아에서 나타나는 반향어는 아동
의 언어이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문장이 어려울 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
므로 아동이 반향어로 반응을 할 때에는 질문 또는 대화가 아동에게 어려운 것이
아니었는지 살펴 우선 그 말의 이해를 도와 준 다음, 적절하게 아동의 반응을 말해
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자연교수방법으로 우연교수전략(incidental
t eaching procedure)을 많이 사용한다. 이것은 더욱 정교한 언어를 촉진하고 대화적
인 기술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동이 요청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
면 학교 앞 선물의 집에서 친구선물을 사기로 한 상황에서 아동이 노란 지갑을 가
리키며 지갑 했을 때 어느 지갑을 원하니? 노란 지갑이라고 말해야지 하고 모델
링해주고 아동이 노란 지갑 하면 여기 있다. 너는 노란 지갑을 좋아하는구나 친구
도 좋아할 것 같니? 등의 말로 인정해주고 확장해준다.
위의 방법들을 교사나 부모가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대략적
으로 살펴보면(신문자,1988,1995),

가. 우선 아동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어떻게 아동의 이해를 돕겠는가를 강구한다.- 이해를 쉽게 하는 방법으로 우선
주의를 끌게 하고, 간단하고 분명하게 말해주며, 행동이나 몸짓을 자연스럽게
말과 함께 섞어 제시한다. 필요하면 사진이나 다른 그림, 사물들을 동원하여
이해시킨다.
다. 조기교육이 중요하며 정상언어발달에 기초하여 단계별로 천천히 지도하는 것
이 필요하다.
라. 단계적이며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여 지도한다.
마. 부모는 아동을 대하는 자신의 태도, 행동, 사용언어 등에 민감하여야 한다.
바. 자신을 갖고 아동을 대한다.
사. 유용한 보상방법을 고려한다.
아. 익힌 동작, 말을 일상생활에서 연습하고 사용할 기회를 준다.
자. 첫 단계에서는 그림이나 말보다는 실제물건, 사물 등을 쓰고 그림은 부차적 상
징물로 사용한다.
차. 즐거운 언어경험을 갖도록 한다.
카. 주위의 경험자나 전문인에게 도움을 청한다.

참 고 문 헌
고바야시 시게오,김동연,이근매,이천세(1995), 자 폐 성 아 동 의 언 어 지 도 . 동아문화사
김승국(1996). 자 폐 아 동 교 육 . 서울: 양서원
김영태(1995). 자폐아 언어및 의사소통발달특성.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 한
국자폐학회
박성숙(1989). 자 폐 증 의 원 인 과 치 료 . 자폐아동의 교육과 치료. 서울장애자복지관
박승희(1995). 자폐아 언어및 의사소통발달촉진을 위한 교수방법.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 한국자폐학회
박은혜(1995). 자폐아동을 위한 보완/ 대체의사소통 체계,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술
대 회 . 한국자폐학회
배소영(1995a). 자폐아언어 및 의사소통진단,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 한국
자폐학회
배소영(1995b ). 우리나라아동의 언어발달, 언 어 치 료 전 문 요 원 교 육 .한국언어병리학회
배소영(1996). 자 폐 아 동 의 의 사 소 통 능 력 진 단 . 대구대 언어치료연수회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1992). 서 울 장 애 인 종 합 복 지 관 언 어 치 료 . 교 육 실 운 영 과 교 육
과 정 . 서울장애인 종합복지관
신문자(1988). 자폐아동의 언어지도, 유 사 자 폐 증 과 유 사 발 달 장 애 아 의 치 료 와 교 육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신문자(1995). 자폐아 의사소통발달을 위한 언어치료사와 부모및 특수교사간의 협력
관계.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 한국자폐학회
신현순(1995). 대학병원 세팅에서의 자폐아동치료교육.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 한국자폐학회
이금진(역)(1997). 자 폐 아 와 발 달 장 애 아 동 의 자 발 적 의 사 소 통 지 도 . 서울:이화여자
대학교출판부
이승복(1994). 어 린 이 를 위 한 언 어 획 득 과 발 달 . 서울;정민사
이승환(1994). 말- 언어장애와 가정지도. 언 어 장 애 아 동 의 가 정 지 도 4 .
서울: 군자출판사
이화여자대학교언어청각임상센터 (편역)(1993). 언 어 장 애 아 동 의 의 사 소 통 지 도 .
서울: 이대출판부
최춘호 역(1995). 자페아동의 조기 사회- 언어발달의 촉진전략. 언 어 장 애 연 구 . 언어
장애연구모임
한국아동문제연구소(편)(1994). 합 본 소 아 정 신 건 강 . 한국아동문제연구소
한재순(1995). 자폐아동의 언어치료. 언 어 치 료 전 문 요 원 교 육 . 한국언어병리학회
홍강의.윤현숙.주세진(1995).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추적평가. 제 2회 한 국 자 폐 학 회
학 술 대 회 .한국자폐학회
홍준표.김미영(1995). 프로그램교수법에 의한 자폐아동의 수용언어훈련의 효과.
제 2회 한 국 자 페 학 회 학 술 대 회 . 한국자폐학회
Fey,M(1986). Lang uag e intervention with Y oung children. San Diego CA:
College Hill Press .
M.N.Hedge (1991). Introduction to communicative dis orders. Pro. ed Austin
Texas
- 12 -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