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의료재활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2-05 (금)
분 류 장애예방,재활
ㆍ추천: 0  ㆍ조회: 4811      
의료재활
 

제 3장 의료재활



1. 개요



  이번 장에서는 의료재활 전문분야 중, 신체의 기능증진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에 대한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의료 재활서비스는 치료의학과 예방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제3의 의학으로서의 재활의학이 최근에 와서 크게 신장하고 있다.  러스크( H. A. Rusk)는 재활의학의 발달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최근까지 의료계 인사들은 재활이란 사회사업이나 직업재활을 취급하는 것으로서 의료적 업무는 별로 없고 있어도 이들 서비스에 부수되어지는 것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재활의 목적이나 과정에 생소한 의료인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의료적 치료가 장애 상태를 지니고 있는 환자들이 그들의 잔존능력으로서 생활하고 직업을 영위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Rusk, 1964, p.20).

  여기서 재활의학의 목적은 장애인의 잔존능력의 개발로 일상생활과 기타 생업활동에 장애인을 참여시키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활의학은 의료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제반 서비스와 같이 제공되어 전인재활(total rehabilitation)을 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재활의학이란 용어는 세계 제2차대전 이후에 사용되어 오는 용어로 특히 지체나 내장기관의 장애 또는 정신적 기능장애를 위해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는 재활의학의 핵심부분을 이루고 있다.

  일반의학이 질병의 국소적 치료에, 예방의학이 질병의 예방에 관심이 있는데 비해 재활의학은 질병을 치료하고 있는 환자나, 질병의 후유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전인적 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53년 부산 동래에 국립재활원이 한미재단과 UNKRA의 자원으로 설립되어 의료재활분야의 물리치료, 작업치료, 보조기 제작 등이 미국으로부터 도입하게 되었다.

  요즈음은 재활공학이라 해서 결손된 신체 부위를 대행하거나 보조해서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신체적 한계를 지닌 채 장애인의 활동영역을 넓혀 주는 각종 기계적 설비기술이 개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재활이란 제1장에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의료재활, 교육재활, 사회재활, 직업재활 서비스 등을 적용하여 장애를 지닌 이들에게 훈련을 시킴으로써 장애를 최소화하여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의 수행능력을 회복, 증진, 강화시켜 주는 것이다. 재활서비스 내용 중, 의료재활 서비스는 전인적 재활의 가장 중요한 단계이며,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즉, 의료재활이란 신체적, 정신적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가장 적절한 재활치료를 통하여 기능 회복을 도와주는 영역으로, 재활의학과 전문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보장구 제작자 등과 같은 전문인들이 담당한다. 양질의 의료재활 서비스가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의료재활 전문인력간 수평적인 협조관계가 매우 중요하며, 이렇게 될 때만이 장애인들에게 보다 양질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의료재활은 단순히 외상이나 질병에 대한 병소를 치유시키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장기간에 걸쳐 남아 있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주어 일상생활동작 및 사회로의 복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내용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다가 올 21세기는 장애인구 증가는 물론, 이들의 재활욕구가 매우 증가될 것이다. 특히, 인구의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료재활 분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Rusk는 의료재활의 목표로서 첫째, 될 수 있는대로 신체적 장애를 예방하고, 둘째, 신체적 장애를 제거 또는 경감시키며, 세째, 장애가 있더라도 그 제약내에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 등을 들고 있다.  의료재활은 같은 종류와 같은 정도의 신체적 결손 또는 기능저하(impairment)를 보유한 경우에도 재활치료를 받음에 따라서 어떠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결여(disability)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더욱 중요하다.

  즉, 같은 장애를 가졌더라도 재활치료를 통하여 장애로 인한 문제를 극소화시킴으로써 기능적, 사회적으로 활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면 장애에 대한 적절한 재활치료를 실시하고 않을 경우 장애가 심화되어 의학적, 기능적으로 더욱 중증의 장애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재활의 과정은 먼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평가(직업재활 평가) 등의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장애의 종류, 장애정도 및 유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평가과정과 장애발생을 예방 또는 극소화시키고 저하된 기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켜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적 수행을 위한 목적으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그리고 필요한 경우, 약물 및 수술적 치료 등을 포함한 치료과정으로 나누어진다.



2. 물리치료학

2.1 물리치료학의 정의

  물리치료(physical therapy)란 열, 전기, 광선, 물, 운동의 법칙과 같은 물리적 에너지 현상뿐만 아니라 치료사의 손에 의한 도수적 방법(manipulation)으로 동통 등을 완화하거나, 근육의 수축 및 이완, 혈액의 순환 등을 치료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도와주고, 비정상적 자세 및 운동 형태를 교정시킬 목적으로 전문가인 물리치료사(physical therapist)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재활치료의 한 전문영역이다. 



2.2 물리치료의 과정

  물리치료의 과정은 물리치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대상환자의 문제점 파악 및 치료계획을 설정하는 측정 및 평가과정과 이러한 평가과정에 의하여 선택된 적절한 치료방법(modality나 운동치료 방법 등)을 선택하여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치료를 행하여 주는 치료서비스 제공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가과정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여 치료방법을 선정하고, 장차 환자의 예후 및 치료목표 등을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올바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관절가동범위검사, 근력검사, 감각검사, 운동발달검사, 반사검사, 심호흡계 평가 등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치료는 이러한 평가결과에 따라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정하여 치료에 적용하여야 한다. 



2.3 물리치료의 유형 및 내용

  물리치료의 유형을 살펴보면 온열 및 냉열을 이용하여 동통 및 혈액순환을 돕는 열치료, 전류를 이용하여 근육 및 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의 위축 및 동통을 완화시키는 전기치료, 자외선,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살균 및 피부 질환 등을 치료하는 광선치료, 물이 지닌 물리학적인 성질, 즉 점성과 부력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의 개선과 동통완화를 위한 수치료, 운동에너지를 치료에 응용하여 자세의 교정 및 자연스런 운동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치료, 그리고 척주 및 주위 조직의 이상을 경감하기 위한 정형도수치료(orthopedic manual therapy), 그리고 물리치료 대상자들에 대한 장애정도와 진전정도에 대한 예후를 결정하기 위한 진단 및 평가 등으로  구분하며 할 수 있으며, 이밖에 보장구의 선택 및 이에 대한 기능훈련, 물리치료에 필요한 기기, 약품의 사용 및 관리, 기타 보호자 및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물리치료에 대한 전문교육 등을 담당한다. 다음은 물리치료의 실제 적용예를 들어 물리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한다.



① 전기치료(Electrotherapy)

  전기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신경손상으로 인하여 근육마비가 온 이들에게 신경재생을 돕고 근육 위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자극치료(EST: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동통이 심하여 관절운동을 할 수 없는 이들에게 동통완화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피신경자극치료(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우리 인체의 심부조직까지 열을 침투시키며 미세한 진동자극을 통하여 맛사지 효과를 내는 초음파치료가 있다. 또한, 초단파, 극초단파로 인하여 열이 발생되어 혈액순환 및 동통을 완화시키는 초단파, 극초단파치료도 있으며, 근래에는 미세전류자극(microcurrent stimulation), 레이져치료(laser therapy), 간섭파치료(interferential therapy)등이 동통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치료가 개발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② 광선치료(Phototherapy)

  빛은 파장 특성에 따라서 열효과, 살균효과, 화학적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을 광선치료라고 하며, 가시광선 보다 낮은 파형인 적외선(infrared ray)은 주로 열을 발생시킴으로 인하여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진정효과도 있으므로 인하여 동통완화 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적외선치료는 뻣뻣해진 근육 및 관절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주기 때문에 동통이 있는 관절의 운동치료를 실시하기전 적용하면 효과가 좋다. 또한, 가시광선보다 높은 파장을 지닌 자외선(ultraviolet ray)는 화학적 효과 및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처회복의 촉진시켜주고 백납, 건선 등과 같은 피부질환자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③ 수치료(hydrotherapy)

  물이 지닌 물리적 성질을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지상에서는 보행이 어려운 환자를 물속에서 보행훈련을 시키면 환자의 체중이 물의 부력 때문에 가벼워져 쉽게 걸을 수 있다. 또한, 욕창 등으로 연부조직에 궤사가 발생하였을 경우, 물을 회전시켜 조직을 자극하게되면 상처에 대한 소독효과 및 새로운 조직이 생기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밖에 상하지의 혈액순환을 돕기위하여 찬물과 뜨거운 물이 번갈아 가면서 연부 조직을 자극하는 교대욕(contrast bath), 파라핀이 가지고 있는 보온성을 이용하여 관절염 등과 같이 동통 및 관절의 뻣뻣함이 있는 환자의 국소관절의 혈액순환을 돕는 초욕(paraffin bath)도 수치료의 유형이다.



④ 운동치료(exercise therapy)

  운동의 원리 혹은 운동발달의 원리 등을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운동치료의 기본이 되는 운동 유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수동운동(passive exercise) : 우리 인체의 관절은 움직이지 않으면 구축이 온다. 일반적으로 의식불명이 있거나 완전마비로 인하여 환자 스스로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에는 물리치료사나 관절운동기(CPM:continuous passive motion)에 의하여 관절운동을 수동적으로 시켜주는 운동방법으로, 이러한 운동방법은 관절의 구축뿐만 아니라 근육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관절운동에 대한 감각을 잃지 않도록 해 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

   둘째) 능동 보조운동(active assisstive exercise) : 완전 마비되었던 스스로 근육을 수축할 수 있게되면, 치료사 혹은 여러 가지 장치의 도움으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운동을 능동 보조 운동이라고 한다. 예를들면, 고무밴드나 스프링과 같은 탄력성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약화된 근육의 기능을 대신하여 운동을 하게 해준다면 스스로 관절운동을 할 수 있다.

  셋째) 능동운동(active exercise) : 단어의 뜻 그대로 환자 스스로 하는 운동방법이다.이는 타인의 도움이 없어도 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면 시작할 수 있는 운동으로 전문가인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관절의 유연성을 길러 주기 위하여 하는 운동방법이다. 대표적인 능동운동은 스트레칭운동이다.

  넷째) 저항운동(resistive exercise) : 저항운동은 근력강화(muscle strength)를 위한 운동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저항의 양을 점차 늘여나감으로써 근력향상을 도와 주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저항운동 방법은 “점진적 저항운동”(PRE: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이다.

  이외에 운동발달정도 및 운동조절능력, 그리고 신경생리학적인 특성에 따라 적용하는 운동치료기법 들이 많다. 예를들면 중추신경계 손상환자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법(NDT:neuodevelopmental treatment)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뇌성마비 아동이나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운동기능회복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법이고, 우리 신체에 있는 감각 수용기(예, 근육, 관절 등)를 자극하여 운동을 유발시키는 고유수용성 신경근육 촉진법(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압박 감각자극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을 유발시키는 보이타(Vojta)치료, 반사 등을 이용하여 운동을 촉발시키는 Brunnstrom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치료방법도 계속 발전되어져 나가고 있다.



⑤ 기능훈련 및 일상생활동작 훈련(Functional exercise and ADL training)

  물리치료의 최종목표는 장애인 스스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동동작 훈련, 예를들면, 목발보행, 휠체어 보행시 적절한 방법으로 걷는 방법, 턱이 있는 곳에서의 휠체어 사용기술 등을 가르쳐 주는 것과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거나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하는 방법 등에 대한 훈련을 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2.4 물리치료사가 근무하는 곳

  물리치료사가 근무하는 곳은 위에서 열거한 물리치료사의 업무 범위에 근거하여 각 종합 병, 의원의 물리치료실과 재활원 및 종합복지관의 물리치료실, 특수학교, 노인전문병원 등을 포함한 노인재활시설, 각 보건소에 설치되어있는 물리치료실, 스포츠 구단 및 체육 관련시설, 물리치료와 관련된 전문 연구기관 및 대학교육기관, 유아 놀이훈련 시설, 그리고 시설내 근무 이외에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가정방문 물리치료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3. 작업치료 



3.1 작업치료의 정의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란 선택되어진 작업활동(activity, work, task, play)을 통하여 환자가 지닌 병변을 감소시키거나, 교정, 예방하여 환자 스스로 외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보다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도와주어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수행능력을 회복, 증진, 강화시켜주는 재활치료의 한 전문영역이다. 



3.2 작업활동의 선택기준 및 그 방법

  작업활동의 선택기준: 작업활동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장애인의 정신기능(인지 및 지각 능력) 및 신체의 기능 수행정도

   둘째, 치료목적과  관련 있는 작업활동 선택

   셋째, 환자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흥미있는 작업활동을 선택

   넷째, 환자에게 친숙해 있거나 친숙해 질 수 있는 작업활동 선택(예, 일상생활동작)

 다섯째, 개별작업활동 및 집단작업활동 중 어느것이 환자에게 유익한가?

 여섯째, 시작자세는 어떤자세가 바람직 한가 ?

 일곱째, 문제해결능력에  따라 점차로 어떤 방법으로 작업활동의 등급(grade)을 높여 갈 것인가?  



3.3 작업치료의 각 영역에 따른 실제 적용의 예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치료에는 신체의 기능향상을 위한 기능적 작업치료, 정신과 영역의 환자 뿐 만 아니라 신체의 기능손실과 동반된 인지 및 지각능력 상실된 자들을 위한 심리적 재활을 위한 작업치료, 마지막으로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알맞는 작업활동을 선택해 줌으로써 장차 이들이 사회에 나아가 직업을  가질수 있도록 돕는  직업재활을 위한 작업치료로 분류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작업치료는 그  범위에 있어서 타학문(예를들면, 임상심리학, 행동과학 및 행동수정, 재활심리학 등)과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된다.  본 장에서는 직업재활과 관련된  작업치료는 생략하고 작업치료 영역중 신체기능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와 정신과 영역에서의 작업치료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① 기능적 작업치료

  기능적 작업치료는 그 치료의 초점을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의 회복을 위해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치료를 실시한다.  첫째, 입체감각(stereognosis), 이점식별능력(two point discrimination)과 같은 피부감각의 식별능력을 길러준다. 예를들어, 부드러운 천 혹은 거친 물체, 여러 가지 입체를 지닌 물체로 자극을 반복적으로 줌으로써 식별능력을 길러준다.

  둘째, 장애자의 운동발달을 촉진 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많은 치료 접근방법이 나와있다. 예를들면, Rood approach, Bobath의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yres의 감각 통합(sensory integration), Kabat,Knot,Voss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Brunnstrom의 운동치료법, Carr와 Shepherd의 운동재교육 방법 등이다.

  셋째,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증가 및 손의 기민성(dexterity), 그리고  눈과 손의 협응 능력(eye-hand coordination)을 길러주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매듭 꼬기, 나사돌리기, Peg board, 종이접기, 톱질하기, 콩담기  및  핀줍기, 베틀을  이용하여 천짜기, 재봉틀을 이용하여 꿰매기 등이다. 평가시 사용되는 도구로는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Min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 Box and Block Test 등이있다.

  넷째, 근력(strength) 및 근의 지구력(endurance)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여기에는 Skate board의 무게를 증가시켜 주무로써, 작업대의 기울기를 높여 주무로써 근력향상을 볼 수 있으며, 대패질 할 때 날의 위치를 바꾸어 줌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지구력 증가는 주로 우리 신체의 체위를 유지하는 근육(Type I  muscle)에  대한 신체유지능력을 증가하는  시키는 것을 말함인데, 이는 작업활동의 양을 늘여 나감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다섯째, 심폐기능의 증진을 위하여 실시한다. 이는 주로 호흡량을 증가 시키거나, 호흡근육의 재교육 등의 목적으로 실시되며, 작업으로는 풍선불기, 촛불끄기, 탁구공불기 등의 놀이로써 행 할 수 있다.

  여섯째, 환자  스스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상생활을 가르칠 때에는 환경을 환자의 가정 및 사회환경과 비슷하게 조정을 행 한 후 실시한다.  일상생활동작의 예를 들면, 세수하기, 목욕하기, 면도하기, 화장하기, 대소변보기, 옷입고 벗기, 밥먹기 등과  같이 환자스스로 자기를  돌 보아야 하는 내용(self care)과 침대에서 앉기,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기,  보행보조기구의 도움으로 보행 하기 등과 같은 이동방법에 관한 내용, 그리고 글씨를 쓴다든가, 전화사용, 단추꿰기, 수도꼭지  틀기 등과 같은 손동작(hand activities)의 증진을 위한 내용 등을 포함한다.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Barthel Index, Klein Bell A.D.L scale, Harmaville Assessment 등이 사용되고 있다.



  ② 심리재활을 위한 작업치료(정신과 작업치료)

  환자를 치료하기에 앞서 정신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하여는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더욱 많은 신경을 기울여야 하며, 다른 재활팀으로 부터의  정보를 평가시에 중요한 참고로 활용해야만 한다. 주된  평가는  치료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평가의 내용은 환자의 심리적 기능, 정신적기능, 인지기능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역의 작업치료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평가법들은 발달검사, 감각통합검사(sensory integration test), 지능검사, 심리검사, 스트레스검사 등이 있다.  그 내용에 따른 검사명을 개략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발달 검사

      ◎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The Gesell Developmental Tests   등

  나) 감각통합검사

      ◎ Developmental Tests of Visual-Motor Integration

      ◎ Marianne Frostig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 Perceptual Forms Test

      ◎ Figure Ground perception, Postural praxis, Finger identification,

      ◎ Design copying, Bilateral motor coordination, Localization of tactile

         stimuli, Constructional praxis 등.

  다) 지능 검사

      ◎ Goodenough - Harris Drawing Test

      ◎ Peabody Picture Vocabulary  등

  라) 심리 검사

      ◎ Adaptive Behavior Scale

      ◎ Bender- Gestalt Test

      ◎ MMPI

      ◎ Allen Cognitive Level

      ◎ Goodman Battery 등

  마) 스트레스 검사

      ◎ Holmes-Rahe Life Change Index

      ◎ Type A Behavior Scale

      ◎ Stress Audit Questionaire



  이상과 같이 작업치료 영역에서 사용되는 평가법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는 정신과 작업치료 영역에서 시행되는 치료의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다.

  첫째, 환자의 정서적인 순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공격적인 기질이 있는 환자들에게 물감을 이용 손바닥 혹은 손가락으로 찍어 마음데로 그리게하는 Finger Painting,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되겠지만, 망치로  못밖기, 가죽공예시 Punching작업 등을 시도 할 수 있다.

  둘째, 신체상(body image)에 대한 개념을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들면, 처음에는 신체의 조각이 단순화(머리,몸통, 상지, 하지)되어있는 인형 맟추기 놀이에서  점차로 복잡한 것으로 진행시켜 나가며 후에는 입체인형으로, 점차로 인간 신체를 이용 직접 지적 할  수 있도록 하며, 종이에 신체를 그리도록 하는 작업활동도 이러한 개념을 높여주는데 좋으며, 이때 환자의 반시야결손(hemianopsia)유, 무도 알아 볼  수  있다.  신체상을 길러줄때 치료사는 강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셋째,  환자의  집중력(attention span)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들어, 행동과다아동(hyperactive  child)치료시 치료사는 일대일로 붙어서 아동이 흥미있어 하는 작업활동을 하도록 하여 계속해서 집중할 수 있도록 강화작용을 주므로써 아동의 행동이 수정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이때 치료실은 반드시 조용한 곳에서 실시 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환자의 눈과 손의 협응(eye hand coordination)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예를들면, 앞에있는 물건을 잡아서 통안에 넣기를 하는데 처음에는 큰물체로 시작하여 점차로 조그마한  물체를 잡아서 통안에 넣기를 행 할 수 있으며, 물건쌓기 등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 성취에 대한 만족감을 제공해 준다. 작업을 통하여 원하던 작품이 완성되었을때 나도 할 수 있다라고 하는 강한 만족감을 준다.

  여섯째, 일상생활과  관련되어 있는 시장보기  및 물건사기 등을  시장놀이를  통하여 혹은 환자와 같이 시장에 나가서 물건 고르고 사는 것을 직접 하도록 함으로써 일상 및 사회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