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특수교육 및 재활공학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alza
작성일 2010-01-29 (금)
분 류 장애예방,재활
ㆍ추천: 0  ㆍ조회: 4504      
특수교육 및 재활공학
 

특수교육 및 재활공학





1.1 개요

  현대인들이 과학문명의 혜택을 누리면서 삶의 질을 향상하듯이 우리 장애인들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과학문명의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 그러나 과학문명의 발달이 꼭 장애인들에게 혜택을 준다는 보장은 없다. 왜냐하면 정상인들을 위한 과학문명이 장애인들에게는 또 하나의 장애의 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인들도 컴퓨터를 모르면 컴맹이 되듯이 장애인들도 컴퓨터를 못 다루면 또 하나의 장애물이 되는 것이다. 현대의 과학을 장애인들의 교육과 재활에 응용하지 않는다면 장애인들의 사회 및 교육 통합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일반사회에서 더욱더 격리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낙후된 보조공학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해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분야를 활성화시켜서 보다 많은 장애인들에게 공학을 통한 교육과 재활의 기회를 부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만 한다..



1.2 전반적인 활동

1.2.1 미국의 동향



  현재 미국의 경우 공학이 재활 및 특수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IDEA) 법에는 유아교육의 일환으로 보조공학 기기 및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을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공학의 접근으로 인해 장애인의 재활 및 교육의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지고 있고 취업 선택의 폭도 보다 더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에서는 공학을 유아에서부터 시작해서 특수교육 및 재활 그리고 노인에게까지 혜택을 주고 있다.  공학을 유아에서부터 활용하므로써 장애인의 정신 및 근육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공학을 장애인의 학습에 응용하므로써 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학교부터 공학을 겸비한 직업재활 훈련을 하므로써 직업전이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현재 미국의 특수교육공학 및 재활공학 전문 양성 기관을 크게 공과계통, 기술계통, 특수교육계통으로 나눌 수가 있다. 1992년 통계에 따르면 공과계통으로는 재활엔지니어링(Rehabilitation Engineering) 분야가 7개 대학, 생체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 분야가 7개 대학이 있다. 공과계통 대학들은 재활공학 서비스보다는 새로운 기술 또는 기기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기술계통으로는 2년제 전문대(Vermont College)와 4년제 공과대학(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이 있다. 그리고 특수교육공학(Special Education Technology) 계통으로는 5개 대학 이상이 있다. 

  재활공학 및 특수교육공학의 짧은 역사 때문에 대부분이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프로그램에만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학부에서도 재활공학 전공을 두어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현재 RESNA(재활과 재활공학 발전을 위한 연합학회)에서 ATP(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 보조공학사) 자격증을 주고 있으며, 그 대상자는 보통 엔지니어,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특수교사, 그리고 직업재활 상담사들이다. 그리고 NAMES (전국 의료상사공급 협회)에서도 RTS(Rehabilitation Technology Suppliers: 재활공학 공급사) 자격증을 주고 있다.



  미국 보조공학 및 특수교육공학 관련단체로선 다음과 같은 단체가 있다. 

The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North America (RESNA)

(소재지: Washington, DC; 인터넷주소: http://www.resna.org/)

  재활 및 보조공학 학회로서 미국에서 유일한 학회 차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로 휠체어 분야를 많이 다루며 작업치료사 및 재활공학사들의 참여가 제일 높다. 학회지로는 “Assistive Technology" 라는 학술지를 매년 2회식 발행하고 있다.

Closing the Gap

(소재지: Minneapolis, Minnesota; 인터넷주소: http://www.closingthegap.com)

  헤이건스 부부가 창립한 단체로서 규모로서는 미국에서 제일크다. 매년 6회의 “Closing The Gap" 이라는 신문을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특수교육 및 보조공학기기를 접할수 있다.

Technologie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소재지: California State University-Center on Disabilities, Northridge, CA ; 인터넷주소: http://www.csun.edu/cod/)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노스릿지 캠퍼스의 장애인 센터에서는 지난 13년동안 공학과 장애인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서부에서는 제일큰 대회이다.

Technology and Media (TAM)

(소재지: Reston, VA; 인터넷주소: http://www.ed.sc.edu/tam/tamconf.htm)

  공학과 미디어라는 부서는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산하에 있으며 목적은효과적인 공학의 접근으로 교육적 기회를 부여 및 향상시키고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부서는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라는 학술잡지를 매년 4회식 발행하고 있다.



1.2.2 우리 나라의 현황



  우리 나라의 재활공학 및 특수교육공학 분야의 전문인은 거의 전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극소수의 연구소에서는 재활공학에 대한 연구를 하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너무나 부족하다. 다행히도 장애인들 스스로가 불편을 겪고 있으면서 재활공학을 활용하는 사례가 국내에서는 많다.

  국내 최초로 생긴 경북실업전문대학 재활공학 학과에서는 보장구사 전문인을 배출하고 있다. 

  앞으로 재활공학기기를 제작하는 업체도 앞으로 많이 생겨야 될 것이다.  지금은 거의 모든기기들을 수입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직접 공학기기들을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재활공학기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다만 시장성 문제라던가 여러 가지 여건의 문제 때문에 활성화가 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앞으로 공학이 재활 및 특수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늘어날 것이며 나아가서는 장애인도 정상인과 똑같은 삶을 누릴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우리나라 특수교육 및 보조공학 사이트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재활과학과

(소재지: 대구광역시; 인터넷주소: http://biho.taegu.ac.kr/~gmlee/)

  재활과학과는 장애인의 재활을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게될 재활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및 재활공학 센터

(소재지: 대구광역시; 인터넷주소: http://sece.taegu.ac.kr/)

  이 센터의 목적은 가상대학 및 장애인을 공학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우경복지재단

(소재지: 서울특별시; 인터넷주소: http://www.wkwf.or.kr)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보조공학적 서비스 제공 및 컴퓨터 보조 교수 프로그램을 제작 배포한다.

한국장애인 재활협회

(소재지: 서울특별시; 인터넷주소: http://www.ksrd.or.kr/)

  장애인의 완전참여와 사회통합을 도모하며 모든 장애인이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련정보 제공한다.

Good Life

(소재지: 서울특별시; 인터넷주소: http://www.goodlife.net/)

  장애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재활교육 소개한다.

한국 척수장애인 사이버센터

(소재지: 서울특별시; 인터넷주소: http://www.kscic.or.kr/)

  한국의 많은 척수장애인 및 그들과 함께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수레바퀴 선교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운영된다.



1.3 전문용어



1.3.1 용어풀이

  현재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을 위한 공학 관련 용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조공학 (Assistive Technology)

  장애인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다양한 기구, 서비스, 보상방법, 그리고 실습을 통해 착상 및 응용을 해서 개선시키는 기술이다. (“Refers to broad range of devices, services, strategies and practices that are conceived and applied to ameliorate the problems faced by individuals who have disabilities.")



보조공학 서비스(Assistive Technology Service)

  장애인에 관련된 보조기구를 선정, 구입, 사용을 직접적으로 보조하는 모든 서비스이다. ("Any service that directly assists an individual with a disability in the selection, acquisition or use of a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특수교육공학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실제로 장애인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공학 및 일반공학 포함한다. (“Any type of technology that serves a practical purpo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es both assistive technology and generic technology.")



재활공학 (Rehabilitation Technology)

  장애인의 기능(삶의 질)을 보상방법 및 적응기구를 사용함으로서 증진, 유지,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Compensatory strategies and adaptive equipment used to increase, maintain or improve functional capabil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재활 엔지니어링 (Rehabilitation Engineering)

  장애인들이 직면하고있는 교육, 재활, 직업, 교통, 독립생활,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장애물을 체계적인 기술응용, 엔지니어링 방법론 또는 과학적인 원리 서비스를 통해 충족시킨다.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technologies, engineering methodologies, or scientific principles to meet the needs of , and address the barriers confronted b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reas which include education, rehabilitation, employment, transportation, independent living, and recreation.")



1.3.2 지체장애인의 컴퓨터 접근(Computer Access)과 관련된 전문용어

 

키 걸쇠장치 (Key Latching Mechanism)

  사용자가 동시에 두 개이상의 키를 누를 수 없을 때 사용한다. 키걸쇠장치는 보통 벨크로(Velcro)로 부착된다. 예, 시프트(Shift), 컨트롤(Control), 펑션키(F#) 등이다. 키걸쇠장치의 한끝을 밀면 원하는 키위로 레버가 움직이게 되고 그 레버가 치워질 때까지 그 키의 작동을 지속시킨다. <그림 1.3.2.1 참조>


<그림 1.3.2.1 >



키 유도장치 (Keyguard)

  협응능력이 손상된 경우에 키 선택의 속도와 정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키 유도장치는 전체 키보드를 덮고 있는 일종의 모형판으로 벨크로라 불리우는 접착식 잠금장치로 부착할 수 있다. 각 키위에 동그란 구멍으로 손가락을 넣으므로서 키 선택의 속도와 정확도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림 1.3.2.2참조>


                          <그림 1.3.2.2 >



디스크 가이드 (Disk Guide)

  손의 협응기능이 손상된 장애인이 혼자서도 디스켓을 드라이브 속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가이드는 보통 철판으로 만들며 디스크를 그 위에 놓은 다음 드라이브의 오픈 슬롯속에 살며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평편한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림 1.3.2.3참조>


<그림 1.3.2.3>



키보드 에물레이팅 인터페이스 (Keyboard Emulating Interface)

  표준 키보드를 대체하는 별도의 장치들의 사용을 위해 컴퓨터와 각종 입력장치(스      위치, 대체 키보드) 사이의 연결매체이다. 즉, 표준 키보드를 대체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신호가 표준 키보드로부터 받아들인 것과 동일하게 정보를 인식 시키는 투명성을 말한다.

<그림 1.3.2.4참조>


               <그림 1.3.2.4>



적응 펨웨어 카드 (Adaptive Firmware Card)

  최초의 키보드 에뮬레이팅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로 Apple II 계열의 컴퓨터의 확장 스로트에 꼽도록 되어있다. 적응 펨웨어 카드는 대체 키보드나 한 두 개의 스위치를 애플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키보드 에뮬레이팅 인터페이스이다. <그림 1.3.2.5 참조>




              <그림 1.3.2.5 >



직접선택 (Direct Selection)

  사용자의 한가지 행동이 한가지 항목을 가리키는 입력방법, 이러한 방법에는 키보드를 타이핑 하거나 어떤 단어를 가리키는 지시기가 있다. <그림1.3.2.6 참조>




                  <그림1.3.2.6 >



스캐닝 (Scanning)

  입력방법의 한가지로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항목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      고 훑어 가는 방법이다. 자동스캐닝, 단계스캐닝, 가로-세로 스캐닝, 역 스캐닝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그림 1.3.2.7 참조>




       <그림 1.3.2.7 >

모르스 부호 (Morse Code)

  하나는 점을(?), 하나는 선을(-) 나타내는 두 개의 스위치로 모든 문자를 만들어 내고 키 보드의 기능을 대신한다.



확장키보드 (Expanded Keyboard)

  표준 키보드의 키들이 너무 근접해 있어 직접입력 시 조작이 어려울 때 표준

키보드를 더 큰 영역으로 분할하여 재프로그램 함으로써 입력을 용이하게 한 대체

키보드의 한 종류이다. 주로 소근육 활동이 어려운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다. <그림 1.3.2.8 참조>


                  <그림 1.3.2.8 >









미니/소형 키보드 (Mini Keyboard)

  소근육 운동은 지장이 없으나 대근육 운동이 힘든 사람을 위해 키보드를 적은

운동량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키들을 모아 크기를 축소시킨 대체 키보드의 한 종류이다.

키들간의 간격을 좁게 제작한 소형 키보드는 제한된 운동 범위를 가진 장애인에게 필요하며 타이핑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그림 1.3.2.9 참조>




<그림 1.3.2.9 >

단어예언 (Word Prediction)

  사용자가 단어의 첫글자 만을 선택하여도 컴퓨터가 그 첫글자로 시작하는 사용비율이 높은 단어들을 미리 예측해 제시하게 되고 사용자는 다시 그 단어들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면 된다.



음성합성기 (Speech Synthesizer)

  특히 시각장애인들의 컴퓨터 환경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화면에 나타난 글자들을 음성으로 들려줌으로써 시각장애인들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국내에는 가라사대 Ⅰ, Ⅱ와 같은 하드웨어 음성합성기도 있으며 한글 TTS와 같은 소프웨어로 처리된  음성지원 프로그램도 있다. <그림 1.3.2.,10 참조>


<그림 1.3.2.,10 >



음성인식기 (Voice Recognition System)

  상지기능이 불능이거나 제한된 기능을 가진 사람들의 컴퓨터 사용을 도와주는 장치       로, 사용자의 음성을 컴퓨터가 인식해 명령을 수행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컴퓨터 접근 방식중의 하나로 마이크로폰에 말함으로써 컴퓨터에 입력이 된다.

<그림 1.3.2.11 참조>


                        <그림 1.3.2.11 >



눈응시 시스템 (Eyegaze System)

  중도의 중복 장애를 가진 사람, 특히 전신마비 환자를 위한 시스템으로 눈동자의        움직임 만으로 컴퓨터 사용 및 문서작성, 환경조정 등을 할 수 있다. 컴퓨터 활용은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로 모니터 앞에 앉아서 머리를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그림 1.3.2.12 참조>


<그림 1.3.2.12 >

마우스/헤드 스틱 (Mouse/Head Stick)

  직접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기구이며 사용방법은 상지기능이 불능 또는 제한된 사람들이 스틱을 입에 물거나 머리에 장착해서 키보드를 직접 누르는 것이다. <그림 1.3.2.13 참조>




           <그림 1.3.2.13 >



머리 장착 지시기 (Head-Mounted Pointer)

  머리조절기능은 이용가능 하지만 상지기능이 손상된 사람들이 이마, 안경, 머리띠        등에 부착된 지시기와 스크린 위에 키보드의 문자를 투사시키는 소프트웨어로 구성         되어 있다. 사용자는 머리를 움직여 스크린 위의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를 타이핑

한다. <그림 1.3.2.14 참조>




                 <그림 1.3.2.14 >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