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학습장애아동의 읽기특성 및 지도
data room..
특수교육자료실1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10-01-18 (월)
분 류 국어
ㆍ추천: 0  ㆍ조회: 6909      
학습장애아동의 읽기특성 및 지도
 

학습장애아동의 읽기특성 및 지도




1) 읽기의 개념적 이해
구어의 문제는 학령기에도 지속되며, 읽기와 쓰기의 문제로  발전된다. 일반아동의 약 10-15%가 읽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장애 아동 중 약 90%가 읽기에 장애를 보이고 있다. 읽기 능력은 단어를 전체적인 형태로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단계에서부터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소리를 분석하고 순서화시키고, 특별히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상세한 내용까지 그 의미를 알 수 있게 되는 단계까지 발달되어 간다. 또한, 읽기 과정은 문자인식, 단어식별, 구체적인 어휘 이해 등 하위 기술  하나 하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한데 어울리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학습장애아동들 대부분은 일반적인 읽기 능력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발달속도가 느린편이며, 일부 아동들은 전혀 질적으로 다른 읽기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읽기 과정이 단어인식(Word Identification/discrimination:식별과 decoding:해호화)과 이해(Comprehension)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읽기의 구조 

단어인식
문자에 대한 해독

이 해

① 형태분석: 문자의 시각적 특징이나 단서에 근거해 단어를 인식하는 활동
② 음소분석: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소와 음소의 대응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단어를 인지하는 것
③ 음절분석: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각 음절에 해당하는 소리를 분석적으로 지각함으로써 전체단어를 인지하는 것
④ 문맥분석: 주위의 다른 단어나 의미에 의존해서 모르는 단어를 해독하려는 단어인지 활동
⑤ 반복적 경험을 통한 일견읽기: 단어에 대한 의식적인음소나 음절분석을 실시하지 않으면서 즉시적으로 단어를 인지하는 것
 

① 단어에 대한 이해: 읽기자료의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초이며 내용에 대한 기억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② 내용에 대한 사실적 히애: 일기 자료에 쓰여진 내용을 있는 그대로 의미화할 수 있는 능력
③ 추론적 이해: 읽기자료에 나타난 정보를 있는 그대로가 아닌 개인적 경험, 지식, 직관을 이용해 가설화할 수 있는 능력
④ 독자의 지식, 경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읽기 자료에 초함된 내용의 정확성, 저자의 의도, 정보의 유용성 등을 판단하는 것
⑤ 감상적 이해: 읽기활동 자체를 통해 심미적 만족을 갖게 되는 상태


 오케스트라의 협연에 비유될만큼 읽기과정은 여러 가지 기술이 복합적으로 요구된다. 다음은 읽기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이다.

Reading is an active search for meaning

읽기는 의미를 찾는 활동이다.

의미를 찾기 위한 "이해(추리와 사고)"를 요구

Reading i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from text.

읽기는 의미를 구성하는 활동이다.

의미의 구성은 저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독자의 배경지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저자는 단순 히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자극한다.

Reading is a strategic process.

읽기는 전략적 과정이다.

독자는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고전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략과 전략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초인지라고 한다. 이해를 위해서는 전략뿐 아니라 주의, 지각, 기억과정에 있어 필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Reading is an interactive process

읽기는 상호작용 과정이다.

읽기는 저자의 생각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단순히 문자나 단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또는 언어로 변환해보거나 조합해가면서 저자의 의도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 문자-음성 지식(Grapho-phonic knowledge), 구문론적인 지식(Syntactic knowledge), 의미론적인 지식(Semantic knowledge)등을 활용할 수 있다.

Reading as a language learning activity is socially mediated.

언어학습활동인 읽기는 사회적인 과정이다.

의사소통은 사회적 상황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읽고 쓰는 것 역시 사회적 상황에서 개발되고 발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읽기과정에 접근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향식(bottom-up)

문자를 정확하게 해독하는 것을 강조, 언어기호를 정확하게 해독한 후 그의 음성언어 이해 능력을 동원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것으로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기 보다 유창하게 단어를 해독하고 인식하여 의미를 끌어내는 방법.(언어의 역할 강조)

하향식(top-down)

과거의 경험과 언어와 세상에 대한 배경지식으로 읽기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개별적인 단어나 단어의 부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읽기에서 나타나는 의미를 가정하거나 추측하며, 독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읽는 것과 이러한 추측을 확인하는 방법.(독자의 역할 강조)

상호작용(interactive)

상향식 모형이나 하향식 모형 단독으로는 어느 것도 완전한 언어 처리 과정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두가지 과정이 동시적이거나 상호작용하는 방법.



  이 외에도 Chall(1983)는 읽기 과정이 일련의 발달적 과정(교재 p57참조)을 거쳐 이루어진다고 하였는데 특히 초기해독과정에서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청각적 정보처리과정이 상호작용하면서 단어를 해독하게 된다고 하였다. LaBerge와 Samuels(1974) 는 아동의 읽기 기술은 해독에서 이해까지 정보처리적 위계를 통하여 발전해 나간다고 하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주의집중이라고 하였다. 새로운 단어나 어휘를 접하게 되면 주의집중능력이 크게 요구되지만, 집중적인 훈련을 통하여 자동화 수준에 이르면 단어인식에 처음과 같은 주의집중 능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유창성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어떠한 접근 방법이든지 간에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단어인식과 이해에 있어 읽기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다양한 문제를 나타낸다고 보고 한다. 읽기 장애아동들은 구체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생략, 삽입, 대치, 반전, 반복, 발음실수, 머뭇거림 등의 오류를 범하게 되며, 읽고 난 후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다. 단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시각적 정보처리과정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주로 각각의 글자와 전체 단어의 형태를 인지하고 기억하는데 결함이 있으며, 청각적인 정보처리의 문제로 인한 읽기 장애 아동들은 구어가 여러 소리로 세분화 되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글자의 소리를 기억하고 단어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소리들을 분석하고 그 소리들을 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시각적인 정보처리과정보다 읽기에 있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청각적인 정보처리과정과 시각적인 정보처리에 모두 어려움을 가진 아동은 당연히 읽기에 있어 가장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된다.

 

영역별

특성

읽기습관

① 긴장된 행동을 한다(눈살을 찌푸린다, 들떠 있다, 높은 목소리를 사용한다, 입술을 문다)
② 불안정하다(읽기를 거절한다, 운다, 교사를 당황하게 한다)
③ 책의 읽던 곳을 모른다.
④ 머리를 휙 돌린다.
⑤ 자료를 가까이 끌어 당긴다.

단어재인

① 단어를 빠트린다.
② 단어를 끼어 넣는다.
③ 단어를 대치한다.
④ 단어의 문자를 반전한다.
⑤ 단어의 발음을 잘못한다.
⑥ 단어의 순서를 바꿔 읽는다.
⑦ 발음할 수 없는 단어에 접하여 5초간 주저한다.
⑧ 느리고 일관성 없게 읽는다.

이해

① 기본적인 사실을 상기할 수 없다.
② 이야기의 줄거리를 상기할 수 없다.
③ 이야기의 주제를 상기할 수 없다.

어법

① 사고단위로 단어를 묶지 않고 한마디 한마디 읽는다.
② 회화어조보다 긴장된 높은 목소리로 읽는다.


  위와 같은 읽기 장애아동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형식적인 방법과 비형식적인 방법이 있다. 표준화된 검사를 활용하는 형식적인 검사는  읽기장애아동들의 이질적인 특성상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형식적인 검사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하겠다. 비형식적 읽기검사는 학년-준거 평가로 유치원 수준에서 초등학교 6학년 수준의 읽기 자료를 대상으로, 각 대상학년마다 분기별(4분기) 문장 특성에 맞는 text를 선별하여 하위검사 도구를 제작할 수 있겠다. 하위검사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며 선별된 문장은 50-100단어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글에 대해 3-5 문항의 개방형 질문을 제작한다. 질문의 형식은 사실에 대한 기억을 알아 보기 위하여 누가, 무엇을, 어디에 등에 대한 것과, 추리적 이해에 대해서는 "왜"로 물어본다. 시각 단어의 구성은 학년별 단어를 20개를 추출하는데, 총 단어수를 20으로 나누어 나오는 수만큼의 간격으로 무작위 추출한다.
  비형식적 읽기 검사의 결과로서 제시하는 읽기 수준은 1) 독립적 수준, 2) 교수적 수준, 3) 좌절적 수준등이다.  

하위검사

내용

준거

입으로 읽기

입으로 읽기에서의 단어인식 정확도

독립적 수준

98%-100%

교수적 수준

95%

좌절적 수준

90%이하

눈으로 읽기

눈으로 읽기에서의 이해 수준

독립적 수준

90%-100%

교수적 수준

75%

좌절적 수준

50%이하

듣기 이해

듣기이해를 위한 문장의 이해

독립적 수준

70%

교수적 수준

50%

좌절적 수준

49%이하

시각단어목록

시각단어의 인식

독립적 수준

0-1개 실수

교수적 수준

2개 실수

좌절적 수준

3개 이상의 실수

  읽기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가르치는 데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법은 총체적 언어교육개념의 읽기 지도 방법이다(교재 p194참조). 총체적 언어교육을 위한 맥락 속에서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를 구분하여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통합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여기에서는 아동들이 언어적 경험과 언어가 가르쳐지는 상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교재로 이미 검증된 문학작품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가르친다. 초언어적 인식(학습자가 언어와 그것의 사용에 대한 것을 인식하는 것)을 가지거나 초인지적 전략을 가지고 있으면 읽기 능력이 향상된다.

읽기 지도의 교과목표는 첫째, 생각과 느낌을 적절하게 말하고, 바르게 듣고, 이해하게 되며, 둘째, 일상생활에 필요한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어의 초보적인 지식을 익히고 재미 있게 글을 읽게 함에 있다. 읽기지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낱말과 그림 대응하기
② 같은 모양의 그림 짝짓기
③ 간단한 낱말 읽기: 환경언어, 상표 언어 익히기
④ 홀소리와 딯소리 읽기:
    ㉮ 받침이 없는 낱자(예: 나, 너)
    ㉯ 받침이 없는 두 글자(예: 아기, 나무)
    ㉰ 받침이 없는 세 글자(예: 아버지, 어머니)
    ㉱ 받침이 없는 두 글자(예: 감자, 철봉)
    ㉲ 받침이 없는 세 글자(예: 바닷가, 운동장)
    ㉳ 된소리, 거센소리가 들어 있는 낱말(예: 까치, 코끼리)
    ㉴ 겹모음이 들어 있는 낱말(예: 참외, 돼지새끼)
    ㉵ 홑받침 낱말이 들어 있는 구절(예: 병원에 가면, 선생님과 같이)
    ㉶ 쌍받침이 있는 낱말이 들어 있는 문장(예: 할머니께서 오셨습니다)
    ㉷ 겹받침이 있는 낱말이 들어 있는 문장(예: 동화책을 읽었습니다)
⑤ 일상생활의 안내판, 표지판 읽기
⑥ 글자의 짜임과 음가를 알며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
⑦ 바른 자세로 읽기
⑧ 글을 알맞게 끊어 읽기
⑨ 간단한 문장 읽기
⑩ 간단한 문장으로 된 단락 읽기
⑪ 몇 단락으로 된 글감 읽기

위와 같은 내용을 목표로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살펴보면, 단어인식능력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철자중심지도

문자 및 문자와 음소의 대응관계에 대한 지식,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의 분석 및 결합 기능들이 문자해독기술 향상을 위한 중요한 교수-학습활동이 된다.
① 종합적 방법: 학생들이 각 문자에 대응하는 음소에 대한 지식을 먼저 획득하도록 하는 활동이 먼저 이루어진 후 음이 각 문자와 연합되어 가르쳐진게 된다. 각 문자에 대한 음가를 학습한 다음에는 학습한 음가들의 결합을 통해서 주어진 단어에 대한 해독활동을 수행하도록 교육된다.
② 분석적 방법: 단어를 구성하는 통합된 부분으로서의 문자의 음가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강조된다.

의미중심지도

①  Fernald의 다감각 접근 방법: 하나의 전체적인 단위로서 단어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동이 인쇄된 단어를 시각적으로 추적하며, 그것을 말하고 기억으로 쓰는 단계를 통해서 읽기능력이 발전된다.
② 언어경험방법: 교사는 아동이 재미있어 하는 주제나 활동을 선택한다. 그 다음 아동과 함께 그 활동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들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을 생각하고 계획활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사는 아동이 이야기한 것을 그 즉시 기록하고, 그것을 아동에게 이야기하여 아동이 그것을 받아쓰게 한다. 교사는 아동의 이야기를 다시 읽고 여기에 아동이 바꾸거나 추가하기를 원하는 것이 있는지를 묻는다. 아동은 그 이야기 중에 교사가 지적한 각 단어를 읽고 교사는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타이프하여 각 아동에게 제시하고, 아동은 이야기 읽는 연습을 한다.
③ 읽기회복법: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어려운 아동들을 위한 조기중재프로그램으로서 하루에 30분정도 일대일로 가르치는 것이다.

 

 유창성과 이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해 기  술 지 도

유창성지도

 큰소리로 읽기

 반복하여 읽기

 합창으로 반복 읽기

 쉬운 책에서 점점 어려운 책으로 접근하기

이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방법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기

브레인 스토밍(Brainstorming)

예비 읽기 계획(Pre Reading Plan)

K-W-L(이미 알고 있는 것(Know)이 무엇인지,배우기 원하는(Want) 것이 무엇인지, 배운 것(Learn)이 무엇인지)

이야기 도식 활동(Story Schema Activation Strategy)

 질문하기 방법

상호관련된 질문하기(ReQuest or Reciprocal Questioning)

질문사항을 작성하고 답변하기

자기 질문하기

 바꾸어 말하기,
요약하기,
고쳐 말하기 방법

바꾸어 말하기(의역, 쉽게 설명하기)

요약하기

이야기지도 만들기, 이야기 고쳐 말하기

포괄적인 접근 방법

직접적인 읽기 활동

직접적인 읽기-사고 활동

상호관련성 가르치기

총체적 언어와 문학작품을 기초로 한 읽기 프로그램


 



       
  0
350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50 특수교육일반 특수교육의 정의 특수교육
49 정책,복지 2012특수교육 연차보고서 특수교육
48 특수교육일반 학습장애 지도방안 [1] 내빈
47 학급운영 통합학급 교사를위한 학급경영 길라잡이 특수교육
46 치료 언어장애의 진단방법 특수교육
45 치료 미술치료 특수교육
44 특수교육일반 발달장애 아동의 식사(편식)지도 및 식이요법 사례 특수교육
43 사회 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성 기술 훈련 [1] 특수교육
42 특수교육일반 세계 특수교육대상의 개념 [3] 특수교육
41 특수교육일반 학습장애아 교수­학습지도법 [2] alza
40 정책,복지 201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특수교육
39 평가,진단,검사 학습장애학생 선정 조건 및 절차 [1] 특수교육
38 특수교육일반 시각 장애아 미술의 치료적 입장 [2] 특수교육
37 치료 발달언어장애 [1] 특수교육
36 평가,진단,검사 시지각발달검사 (DTVP) [1] 특수교육
1234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