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넷
   

회원등록 ID/PW찾기

News
HOT menu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교육
column,criticism
칼럼, 만평
작성자 특수교육
작성일 2008년 3월 10일 월요일
ㆍ추천: 0  ㆍ조회: 4263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교육
 교육열’ 하면 어찌 한국 부모를 당할 사람이 이 세상에 있을까?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이민의 길도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라면 선뜻 보따리를 싸들고 나설 수 있는 사람이 우리 한국인이다.
 
우리 엄마도 예외는 아니었다. 엄마는 교육에 들어가는 돈은 절대로 아끼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지고 계셨다. 그래서 나는 중고등학교 때 참고서 값이며 학용품값을 풍족하게 썼다. 물론 필요 이상으로 청구해 용돈으로 궁핍한 주머니 사정을 채울 수도 있었다.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어떨까? 과연 대학교육을 받을 수 있고 투자한 교육비의 몇 배로 돌려받을 수 있다는 보장을 받을 수 있을까? 부모 교육을 통해 이야기해 보면 발달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도 비장애자녀의 부모들 못지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아동이 대학 진학을 생각할 때는 비 장애 아동들에게 주어지는 대학 교육의 기회처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없다는 현실 앞에서 가슴 아파한다.

대학 교육이 과연 학문의 정진만이 목표일까? 그래서 지능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설 곳이 없는 곳일까? 그렇지만은 않다. 대학 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학문적 발전만은 아니다. 우리는 대학에서 낭만을 배우고 사람을 만나고 인생을 설계한다.
고등학교까지의 기초 교육에서 하지 못한 인생을 사회에 나가기 전에 배우는 곳이 대학이다. 또 대학 교육을 통해 우리는 지도자로서 새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발달장애를 가진 학생들도 대학 캠퍼스를 자유로이 걷고 거기서 친구를 만나고 지도자적 역량을 키울 정당하고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

특수교육은 연방정부의 장애인 교육법(IDEA: Individuals with Disability Education Act)에 의해 0세에서 22세 사이의 장애학생들에게 필요한 공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있고 이 법은 초·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내용까지 아동의 능력에 맞게 바꾸어 적절한 개별화 교육을 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장애가 경한 경우에는 18세에 졸업을 하는데 법적으로 22세까지 공교육이 책임을 지게 되어 있지만 일단 졸업을 하고 나면 그 이후에는 공립학교에서는 교육의 책임이 없어진다.

그래서 나는 부모 교육 세미나에 가면 대학진학이 결정되거나 취업을 할 특별한 계획이 없으면 18세에 졸업을 하기보다는 22세까지 특수교육을 받기를 권유한다. 요즘은 교육청에서 18~22세의 장애학생들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2년제 대학과 재활과와 리저널 센터와 협력을 해 다양한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 자녀가 재학하고 있는 학교에 커뮤니티 칼리지와 협력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지 문의하고 어떻게 그 프로그램에 들어갈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다. 샌타모니카 칼리지, 글렌데일 커뮤니티 칼리지, 마운트색 등에도 발달장애 학생들이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 있다. 특히 베이커스필드에서 서쪽으로 40마일쯤 떨어진 태프트(Taft)라는 도시에 있는 태프트 커뮤니티 칼리지에서는 컨카운티 리저널 센터(Kern County Regional Center)와 협력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이 기숙사에 머물며 자립생활을 배우고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2년제 프로그램을 15년째 운영하고 있다.

태프트의 프로그램만큼 조직적이고 활동적이지는 않으나 UCLA에서는 2006년 가을학기부터 발달장애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http://uclaextension-pathway. blogspot.com/). 일반적으로 대학 프로그램은 일부 협력기관인 리저널 센터에서 일부 프로그램 경비를 지원하기는 하나 기숙사 비용이나 교육비는 부모가 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다.

김효선 교수
<칼스테이트 LA 특수교육과>


       
  0
3590
FILE #1 .
FILE #2 .
FILE #3 .
FILE #4 .
FILE #5 .
FILE #6 .
FILE #7 .
FILE #8 .
FILE #9 .
FILE #10 .

   
번호 본문내용 작성일
43
장애인 통합교육, '손해보는 인생'을 교육할수는 없는가?
“손해 보는 인생”을 교육할 수는 없는가? "아니, 아이 얼굴이 왜 그래요? 어쩌다가 다쳤어요?" "우리 애랑 같은 반에 장애아가 있는데, 애 얼굴을 다 뜯어놨어요. 자기 팔에 칼로 막 긋고 자해도 하고, 옆에 있던 우리 애 얼굴도 그 애가 달려들어 물어뜯어서... 그래서 요즘 피부과에 다니잖아요." "..   코코디(COkod..
2011/01/26
42
장애인 킨제이 보고서-한겨레21
지적장애·뇌성마비·척수손상 224명 대상 심층조사 ‘장애인 킨제이 보고서’는 말한다…‘만족군’은 10.3%에 그친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A부터 Z까지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211.html  
2010/10/03
41
발달장애여성의 삶과 섹슈얼리티
지배적인 성규범 안에 갇힌 장애여성의 성적 권리 찾기 지성  / 2009년12월02일 16시07분 발달장애인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한 운동과 연구들 안에 ‘성폭력’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오고 있다. 발달장애인 성폭력 관련 국내외 연구들은 발달장애인이 가지는 인지적인 능력과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의해 성폭력이 발생..
2009/12/09
40
우리는 '장애인으로 태어날 권리'가 있다
"소년이 태어났을 때 모든 스파르타인들처럼 검사를 받았다. 작거나 병약하거나 결함이 있었다면 그 아이 역시 폐기되었을 것이다."곧이어 카메라는 계곡 앞에 서 있는 심판관과 그의 팔에 안겨 있는 장애 아기를 비춘다. 곧 폐기될 운명을 아는지 모르는지 아기의 표정은 해맑기만 하다. 계곡에는 이미 버려진 장애 아..
2009/10/28
3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범위와 한계
한현민(대진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2007년 5월 25일은 한국특수교육의 학사(學史)에서 유의한 전환기로 기록될 것이다. 산업화 시대의 말기인 지난 1979년부터 30개 성상(星霜)의 장구한 세월 동안 한국특수교육을 지켜온「특수교육진흥법」(이하 “특진법”이라 함)이 그 본래의 사명을 다하여(?) 폐지되고,..
2009/10/22
38
시각장애인과 인터넷
시각장애인과 인터넷 2009.3.4컴퓨터와 인터넷은 시각장애인에게 거의 ‘혁명적’인 정보 접근 수단을 제공해 준다. 종래 시각장애인은 점자로 변환된 매우 제한된 분량의 정보에 의존하거나, 누군가가 읽어 주는 정보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정보 ‘의존성’). 그러나, 인터넷과 음성합성기술이 접목된 지금은 시각..
2009/10/06
37
‘시각장애인’ 세종대왕
 우리가 존경하고 있는 세종대왕에 대해 우리가 꼭 알고 있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그가 시각장애인이었다는 사실이다. 세종대왕은 재위기간 31년 가운데 8년 동안은 거의 앞을 보지 못했다.세종실록에 보면 세종 23년 임금은 눈이 보이지 않아서 정사를 볼 수 없기에 세자에게 전위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 신료들..
2009/10/06
36
왜 우리는! - Robert Martin (지적장애인권운동가)
      [오른쪽에서 두 번째 사람이 Robert Martin 이다}    정신지체인으로서 뉴질랜드에서 지적장애인의 자기권리 주장 운동에 앞장서온 인권운동가 R. Martin은 제 16차 아시아정신지체국제회의(16th Asian Conference on Mental Retardation, 2003) 전체회의장에서 “지역사회에서 정신지체인의 완전참여와 권력 ..
2009/09/21
35
장애인의 권리!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장애인권교육 워크숍, 장애인의 22가지 권리   이혜영 지난 5월 8~9일, 부산, 목포, 전주, 대구, 서울 등에서 장애인권교육 활동을 하고 있는 40여명의 활동가들이 모여, 장애인의 22가지 주제별 권리를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최근에 국제장애인권리협약,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
2009/09/17
34
[시사와 문화]대중문화, 장애인 단물만 빨아먹는다?
  몇몇 콘텐츠를 보자. 공지영 소설 <도가니>는 어느 장애인 학교에서 벌어진 성폭력 사건을 통해 브레이크 없는 권력의 카르텔을 고발한다. 정작 <도가니>에서 장애인은 지식인의 관념적인 고뇌를 포장하는 후일담 문학의 또 다른 상품 대상이 됐다... 위클리경향
2009/08/28
12345


since 2000 알자넷은 Internet Explorer 10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edupontcom@gmail.com
본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